AD
증시 변동성이 커진 상황이지만 빚내서 투자하는 이른바 '빚투' 규모가 잇따라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습니다.
금융투자협회는 지난 6일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25조8천782억 원으로 집계돼 하루 전날에 이어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밝혔습니다
유가증권시장은 16조 934억 원, 코스닥시장은 9조 7천848억 원이었습니다.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투자자가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에서 돈을 빌린 뒤 변제를 마치지 않은 금액으로, 빚투 규모를 가늠하는 지표 가운데 하나입니다.
증시가 큰 변동성 속에서도 빚투 규모가 늘어난 것은 지수 급등 때 포모, 이른바 소외 공포를 느낀 투자자들이 추격 매수에 나섰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YTN 이승은 (s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금융투자협회는 지난 6일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고가 25조8천782억 원으로 집계돼 하루 전날에 이어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밝혔습니다
유가증권시장은 16조 934억 원, 코스닥시장은 9조 7천848억 원이었습니다.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투자자가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에서 돈을 빌린 뒤 변제를 마치지 않은 금액으로, 빚투 규모를 가늠하는 지표 가운데 하나입니다.
증시가 큰 변동성 속에서도 빚투 규모가 늘어난 것은 지수 급등 때 포모, 이른바 소외 공포를 느낀 투자자들이 추격 매수에 나섰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YTN 이승은 (s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