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KT가 무단 소액결제 사태와 관련한 데이터를 전수 조사한 결과, 불법 기지국과 피해자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T는 오늘(17일) 오전 서울 광화문 KT 사옥에서 브리핑을 열고 지난해 8월부터 지난 9월까지 이뤄진 모든 통신과금대행 결제, 1억 5천만 건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불법 기지국 ID는 기존 4개에서 16개 늘어난 20개로, 접속 이력이 있는 고객 수도 2천2백 명이 늘어난 2만 2천2백여 명으로 확인됐으며 최초 접속 시기는 지난해 10월로 특정됐습니다.
이에 따라 무단 소액결제 피해 고객은 기존 362명에서 6명이 추가된 368명으로 늘었고 해당 고객의 소액결제 피해액은 모두 319만 원으로 파악됐습니다.
특히 전체 소액결제 가운데 기존 ARS 방식이 아닌 문자 인증 방식을 통한 소액결제 63건이 이뤄진 사실도 새롭게 드러났습니다.
KT는 이번 조사 결과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관계기관에 보완 신고했으며 추가로 피해가 확인된 고객에 대해서도 보호 조치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대규모 전수 조사에 시간이 걸린 점에 대해 거듭 사과한다며 정부 조사와 경찰 수사에 성실히 협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촬영기자 : 권석재
YTN 김태민 (tm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KT는 오늘(17일) 오전 서울 광화문 KT 사옥에서 브리핑을 열고 지난해 8월부터 지난 9월까지 이뤄진 모든 통신과금대행 결제, 1억 5천만 건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불법 기지국 ID는 기존 4개에서 16개 늘어난 20개로, 접속 이력이 있는 고객 수도 2천2백 명이 늘어난 2만 2천2백여 명으로 확인됐으며 최초 접속 시기는 지난해 10월로 특정됐습니다.
이에 따라 무단 소액결제 피해 고객은 기존 362명에서 6명이 추가된 368명으로 늘었고 해당 고객의 소액결제 피해액은 모두 319만 원으로 파악됐습니다.
특히 전체 소액결제 가운데 기존 ARS 방식이 아닌 문자 인증 방식을 통한 소액결제 63건이 이뤄진 사실도 새롭게 드러났습니다.
KT는 이번 조사 결과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관계기관에 보완 신고했으며 추가로 피해가 확인된 고객에 대해서도 보호 조치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대규모 전수 조사에 시간이 걸린 점에 대해 거듭 사과한다며 정부 조사와 경찰 수사에 성실히 협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촬영기자 : 권석재
YTN 김태민 (tm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