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값 하락한 우리 동네도 규제지역 지정"...반발 확산

"아파트값 하락한 우리 동네도 규제지역 지정"...반발 확산

2025.10.16. 오후 4:2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이미지 확대 보기
"아파트값 하락한 우리 동네도 규제지역 지정"...반발 확산
ⓒYTN / 기사와 무관한 사진
AD
정부가 10·15 주택 시장 안정화 대책을 통해 규제지역으로 재지정한 서울 21개 구 가운데 8개 구는 지난 33개월 동안 아파트값이 외려 하락한 지역인 것으로 드러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16일 정부 공인 시세 조사 기관인 한국부동산원이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데이터를 시계열 분석한 결과 2022년 12월 대비 지난달까지 2년 9개월 새 서울 도봉구의 아파트값은 5.33% 떨어졌으며, 이어 금천구(-3.47%)·강북구(-3.21%)·관악구(-1.56%)·구로구(-1.02%)·노원구(-0.98%)·강서구(-0.96%)·중랑구(-0.13%) 순으로 하락 폭이 컸다.

이번 정책에 따르면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에서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무주택(처분조건부 1주택 포함)은 종전 70%에서 40%로 낮아지고, 유주택자는 아예 대출이 금지된다. 또 취득세가 2주택자는 8%로, 3주택자는 12%로 중과되는 등 대출·세제를 비롯한 모든 부동산 규제가 대폭 강화된다.

오는 20일부터 이들 지역이 투과·조정지역과 함께 토지거래허가구역까지 '삼중 규제지역'으로 묶이면 2년간 실거주 의무가 부과되면서 '갭투자'(전세를 낀 매수)가 불가능해진다.

이에 부동산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강남 3구 십억씩 오를 때는 가만있더니 이제 노도강(노원·도봉·강북)이 조금 오를 기미가 보이니 (규제지역으로) 묶어버린다"는 반발 글이 올라오고 있다. 한 도봉구 구민은 "도봉 집값은 오르지 않고 오히려 떨어졌는데 강남처럼 규제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항변하기도 했다.

서울의 한 공인중개사는 "서울에서도 '한강 벨트'(한강을 둘러싼 지역)를 비롯해 집값이 많이 오른 곳만 규제지역으로 묶을 줄 알았는데, 서울 전역이 규제지역에 토허구역으로까지 묶인 것은 충격 그 자체였다"며 "당분간 매매가 뚝 끊길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이 가운데 같은 기간 규제지역으로 유지된 송파구(29.96%)·서초구(23.33%)·강남구(20.56%) 등 강남권 3구는 아파트값이 20% 넘게 올랐으며, 용산구 역시 14.91% 상승해 대비를 보인다.

경기도에서는 이번 대책에서 규제지역으로 묶인 지역 간 양극화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규제지역으로 재지정된 경기도 12개 지역 가운데 7곳(수원시 영통·장안·팔달구, 성남시 중원구, 안양시 동안구, 용인시 수지구, 의왕시)은 2022년 10월 대비 모두 아파트값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왕의 하락폭(-14.93%)이 가장 컸으며 수원장안(-9.18%), 수원팔달(-8.72%), 성남중원(-8.71%), 수원영통(-8.55%), 안양동안(-6.50%), 용인수지(-4.94%)가 뒤를 이었다. 이에 반해 2023년 1월에 규제지역에서 해제됐다가 이번에 다시 규제지역으로 묶인 과천시(19.97%)와 성남시 분당구(13.07%)의 아파트값은 이 기간 두 자릿수 상승률을 나타냈다.

정부는 이번 서울·경기 규제지역 지정이 최근 3개월간 주택가격상승률과 물가상승률 등의 정량적 요건과 과열·투기 우려 등의 정성적 요건을 모두 충족했다는 입장이지만, 아파트값이 떨어진 지역까지 규제지역으로 지정한 것은 자칫 부동산 시장 전체를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는 지적을 면치 못하고 있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정부가 집값을 잡기 위해 오르지 않은 지역까지 선제적으로 규제지역으로 지정한 것은 과잉 규제로, 부동산 거래가 급감하면 경제 활성화에도 치명적인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현재 국가적인 당면 과제가 경제 활성화인 만큼, 부동산 경제도 선순환 흐름을 이어 갈 수 있도록 더욱 정교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