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전국 오피스텔 가격이 매매와 전세는 하락하고 월세만 상승하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서울 오피스텔은 매매와 전셋값이 상승 전환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오피스텔 가격동향 조사를 보면 지난 3분기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전 분기와 마찬가지로 0.39% 하락했습니다.
다만 서울은 전 분기 보합에서 3분기 들어 상승 전환하며 0.11% 올랐고 수도권은 하락폭이 0.34% 하락에서 0.32% 하락으로 축소된 가운데 지방은 오히려 하락폭이 0.56% 하락에서 0.65% 하락으로 더 커졌습니다.
이에 대해 부동산원은 서울은 아파트 가격 상승과 함께 아파트 대체 상품인 오피스텔 가격도 동반 상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전셋값의 경우 전 분기보다 0.20% 하락하며 전 분기의 0.25% 하락과 비교해 낙폭이 줄었습니다.
서울 오피스텔 전세는 2분기 0.02% 하락했지만 새 학기 개강을 맞아 대학가 전세 수요가 늘면서 3분기 들어 0.07%로 상승 전환했습니다.
반면 수요보다 공급물량이 많은 경기와 지방은 각각 0.26% 하락, 0.32% 하락하며 전셋값 약세가 이어졌습니다.
월세 가격은 전국이 0.30% 상승하면서 전 분기의 0.20% 상승과 비교해 상승폭이 확대됐습니다.
서울 월세는 2분기 0.28%에서 3분기 0.53%로 상승폭이 확대됐고 수도권과 지방도 각각 0.32%, 0.22% 상승하며 상승세가 이어졌습니다.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오피스텔 가격동향 조사를 보면 지난 3분기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전 분기와 마찬가지로 0.39% 하락했습니다.
다만 서울은 전 분기 보합에서 3분기 들어 상승 전환하며 0.11% 올랐고 수도권은 하락폭이 0.34% 하락에서 0.32% 하락으로 축소된 가운데 지방은 오히려 하락폭이 0.56% 하락에서 0.65% 하락으로 더 커졌습니다.
이에 대해 부동산원은 서울은 아파트 가격 상승과 함께 아파트 대체 상품인 오피스텔 가격도 동반 상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전셋값의 경우 전 분기보다 0.20% 하락하며 전 분기의 0.25% 하락과 비교해 낙폭이 줄었습니다.
서울 오피스텔 전세는 2분기 0.02% 하락했지만 새 학기 개강을 맞아 대학가 전세 수요가 늘면서 3분기 들어 0.07%로 상승 전환했습니다.
반면 수요보다 공급물량이 많은 경기와 지방은 각각 0.26% 하락, 0.32% 하락하며 전셋값 약세가 이어졌습니다.
월세 가격은 전국이 0.30% 상승하면서 전 분기의 0.20% 상승과 비교해 상승폭이 확대됐습니다.
서울 월세는 2분기 0.28%에서 3분기 0.53%로 상승폭이 확대됐고 수도권과 지방도 각각 0.32%, 0.22% 상승하며 상승세가 이어졌습니다.
YTN 최두희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