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추석 명절을 앞두고 가공식품과 수산물, 축산물 등 먹거리를 중심으로 높은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쌀과 커피는 16% 가까이 올랐고, 달걀도 9% 넘게 뛰었습니다.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기자]
추석을 앞두고 장을 보러 나온 주부들은 주식인 쌀과 달걀값이 크게 오르면서 높은 먹거리 물가를 체감하는 모습입니다.
[김혜영 / 서울 보라매동 : 며칠 만에 (마트에) 나왔는데요. 쌀값이 많이 오르고 달걀도(올랐어요). 달걀도 포인트를 사용하면 좀 싸게 살 수 있어 많이 이용하고요.]
명절 수요 영향 등으로 지난달 달걀값은 1년 전보다 9.2% 올랐습니다.
3년 8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입니다.
쌀값은 15.9%, 찹쌀은 46%나 껑충 뛰었습니다.
가공식품과 축산물, 수산물도 물가 상승세가 이어졌습니다.
가공식품 물가는 전달과 마찬가지로 4.2% 오르며 전체 물가를 0.36% 포인트 끌어 올렸습니다.
빵이 6.5%, 커피 15.6%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축산물과 수산물도 각각 5.4%, 6.4% 올랐습니다.
국산 소고기와 돼지고기, 고등어 등은 전달보다 상승 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전체 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외식 물가는 3.4% 상승했는데, 배달료 인상과 지난해 명절 세일행사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전달보다 상승 폭이 커졌습니다.
농산물 물가는 1.2% 하락했습니다.
채소류 물가가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12.3% 떨어진 게 주된 영향을 미쳤습니다.
지난달 전체 소비자물가는 2.1% 상승해 두 달 만에 2%대로 올랐습니다.
[이두원 / 국가데이터처 경제동향통계심의관 : 8월에 하락했던 일부 통신사 휴대폰 감면이 종료됨에 따라 그 영향으로 휴대전화료 등이 상승해서 2.1%로 상승했습니다.]
국가데이터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물가 상승에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체감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등 민생과 밀접한 주요 품목의 가격·수급 변동 요인에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YTN 오인석입니다.
촬영기자 : 양준모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추석 명절을 앞두고 가공식품과 수산물, 축산물 등 먹거리를 중심으로 높은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쌀과 커피는 16% 가까이 올랐고, 달걀도 9% 넘게 뛰었습니다.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기자]
추석을 앞두고 장을 보러 나온 주부들은 주식인 쌀과 달걀값이 크게 오르면서 높은 먹거리 물가를 체감하는 모습입니다.
[김혜영 / 서울 보라매동 : 며칠 만에 (마트에) 나왔는데요. 쌀값이 많이 오르고 달걀도(올랐어요). 달걀도 포인트를 사용하면 좀 싸게 살 수 있어 많이 이용하고요.]
명절 수요 영향 등으로 지난달 달걀값은 1년 전보다 9.2% 올랐습니다.
3년 8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입니다.
쌀값은 15.9%, 찹쌀은 46%나 껑충 뛰었습니다.
가공식품과 축산물, 수산물도 물가 상승세가 이어졌습니다.
가공식품 물가는 전달과 마찬가지로 4.2% 오르며 전체 물가를 0.36% 포인트 끌어 올렸습니다.
빵이 6.5%, 커피 15.6%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축산물과 수산물도 각각 5.4%, 6.4% 올랐습니다.
국산 소고기와 돼지고기, 고등어 등은 전달보다 상승 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전체 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외식 물가는 3.4% 상승했는데, 배달료 인상과 지난해 명절 세일행사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전달보다 상승 폭이 커졌습니다.
농산물 물가는 1.2% 하락했습니다.
채소류 물가가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12.3% 떨어진 게 주된 영향을 미쳤습니다.
지난달 전체 소비자물가는 2.1% 상승해 두 달 만에 2%대로 올랐습니다.
[이두원 / 국가데이터처 경제동향통계심의관 : 8월에 하락했던 일부 통신사 휴대폰 감면이 종료됨에 따라 그 영향으로 휴대전화료 등이 상승해서 2.1%로 상승했습니다.]
국가데이터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물가 상승에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체감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등 민생과 밀접한 주요 품목의 가격·수급 변동 요인에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YTN 오인석입니다.
촬영기자 : 양준모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