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올해 쌀 예상 생산량이 357만 4천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가데이터처는 2025년산 쌀 예상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만1천 톤 감소한 357만4천 톤이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정부의 쌀 수급 조절 정책으로 올해 벼 재배 면적이 지난해보다 2.9% 줄었지만 기상 여건이 양호해 단위 생산량은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10 아르당 예상 생산량은 527㎏으로 지난해의 514㎏보다 2.7% 늘고 평년보다 1.7% 증가한 수준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쌀 예상 생산량은 밥쌀과 가공용 소비, 정부의 공공비축 물량 등을 감안한 신곡 예상 수요량보다 16만5천 톤 많은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정부가 올해도 쌀 시장격리 조치를 내놓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시장격리는 쌀 생산이 과도하게 늘어날 때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가 과잉 공급 물량을 매입하는 제도입니다.
쌀 공급이 수요보다 많은 구조적 공급 과잉 때문에 지난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정부는 연평균 31만 톤을 시장 격리했습니다.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가데이터처는 2025년산 쌀 예상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1만1천 톤 감소한 357만4천 톤이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정부의 쌀 수급 조절 정책으로 올해 벼 재배 면적이 지난해보다 2.9% 줄었지만 기상 여건이 양호해 단위 생산량은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10 아르당 예상 생산량은 527㎏으로 지난해의 514㎏보다 2.7% 늘고 평년보다 1.7% 증가한 수준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쌀 예상 생산량은 밥쌀과 가공용 소비, 정부의 공공비축 물량 등을 감안한 신곡 예상 수요량보다 16만5천 톤 많은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정부가 올해도 쌀 시장격리 조치를 내놓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시장격리는 쌀 생산이 과도하게 늘어날 때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가 과잉 공급 물량을 매입하는 제도입니다.
쌀 공급이 수요보다 많은 구조적 공급 과잉 때문에 지난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정부는 연평균 31만 톤을 시장 격리했습니다.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