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총파업 돌입...은행 영업점 정상 운영

금융노조 총파업 돌입...은행 영업점 정상 운영

2025.09.26. 오후 3:0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은행권이 주축이 된 금융노조가 주 4.5일제 도입 등을 요구하며 3년 만에 총파업에 돌입했습니다.

다만 참여율이 저조해 현재까지 은행 영업점 혼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최아영 기자, 금융노조가 오전부터 파업을 시작했죠.

[기자]
네, 금융노조가 예고한 대로 오늘 총파업에 들어갔습니다.

일단 하루만 진행되는 경고성 파업입니다.

노조는 오전 11시에 서울 광화문에서 집회를 연 뒤 용산 대통령실까지 행진했습니다.

금융노조는 전국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정책금융기관과 같은 금융업 종사자들이 소속된 산별노조입니다.

이들은 사측에 임금 인상률 3.9%와 신규채용 확대, 정년 연장 등을 요구하며 파업에 나섰습니다.

특히 이번 파업에선 근로시간을 줄이는 주 4.5일제 도입을 전면에 내세웠는데요.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영업시간을 30분씩 늦추고 금요일은 오전에만 일하는 안을 제시했습니다.

노조는 지난 몇 년 동안 은행이 효율화를 내세워 점포 700여 곳을 닫고 인력 7천여 명을 줄인 탓에 노동자들의 부담이 커졌다며 근무시간 단축을 촉구했습니다.

[앵커]
주요 시중 은행원들이 노조에 대거 소속돼 있는데 파업으로 인한 불편은 없나요.

[기자]
네, 이번 파업으로 은행 영업점 업무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는데요.

파업 참여율이 높지 않아 큰 불편은 없는 상황입니다.

현재까지 파업으로 문을 닫은 영업점이나 업무 혼란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KB국민은행은 직원 만 2천여 명 가운데 100명 정도가 참여한 것으로 파악했고 신한은행은 파업 투표가 무산돼 아예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 다른 시중 은행 역시 비슷하거나 더 적은 인원들이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다만 금융노조위원장이 속한 기업은행은 노조원의 16%인 천4백여 명이 파업에 나섰는데요.

영업점 607곳은 정상 운영되고 있습니다.

기업은행 측은 고객에게 파업을 미리 알려 양해를 구했고 비노조 인력을 배치해 큰 문제가 보고된 건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금융노조의 파업 참여율이 저조한 건 주 4.5일제 등 파업 명분이 큰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최아영입니다.



YTN 최아영 (cay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