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김정관 산업 장관에 이어 한미 관세협상 후속 협의를 위해 미국을 찾았던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오늘 귀국합니다.
협의가 난항을 겪는 가운데 지난 16일 일본의 자동차 관세가 먼저 15%로 낮아지면서 한일 관세가 역전된 상황인데요.
앞서 여 본부장은 우리도 최대한 빨리 15%가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면서도 일희일비하지 않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인천공항 현장 연결해보겠습니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이번에는 USR 대표 그리고 의회 주요 인사들 만나서 전반적인 협상 상황과 그리고 비자 문제 이슈 해결을 위해서 협의를 하고 왔습니다.
[기자]
미국 측에서는 비자 문제 관련해서 어떤 발언이 있었나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진행 중인 상황이기 때문에 저희가 구체적인 내용은 말씀드리기가 어려운데.
미국 측도 문제의 심각성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자동차가 당장 급하게 됐는데.
자동차 관세 따로 논의를 하셨습니까?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그 부분은 저희도 심각성을 충분히 인지를 하고 있고 최대한 빨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기자]
우리 측에서 통화스와프 문제 얘기했을 때 미국 측에서 반응이 어땠을까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저희는 이번에 일본과 한국은 다르다는 부분, 그 부분을 최대한 저희가 설명하고 그리고 왔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조금 기다려주시면 좋겠습니다.
[기자]
미국이 아직도 일본 모델을 고집하고 있나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저희는 일본과 한국은 다르다, 그런 부분을 여러 가지 객관적인 자료와 분석을 통해서 저희가 제시를 하고 그리고 최대한 설득을 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협상 진행 내용은 말씀드리기가 쉽지 않음을 양해를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자]
직접투자 비율과 관련해서 미국이랑 우리랑 제시한 숫자 간단하게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구체적인 내용은 저희가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죄송합니다.
[기자]
의견을 좁혔다, 아니다로 간단하게.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진행 중인 과정이라고 생각을 해 주시고요.
저희는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기자]
지금까지 미국이 제시한 요구조건을 종합해보시면 15% 상호관세를 적용받는다고 해도 무의미할 정도로 무리하다고 평가하시나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그런 부분 제가 답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이렇게 일찍 나오셨는데 죄송합니다.
저희가 국익에 직결되는 이슈다 보니까 구체적인 내용을 말씀드리는 게 국익에 반할 수 있는 측면도 있고.
하여튼 저희는 국익을 최우선에 두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렇게 말씀드릴게요.
[기자]
마지막으로 간단하게 방미 이번에 가신 성과를 짧게 말씀해 주신다면.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전반적으로 과정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되고.
아까 말씀드렸지만 USTR 대표랑 의회 영향력 있는 주요 의회 인사들 상대로 아웃리치하면서 전반적인 협상 진행 상황 특히 우리 비자 이슈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를 했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김정관 산업 장관에 이어 한미 관세협상 후속 협의를 위해 미국을 찾았던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오늘 귀국합니다.
협의가 난항을 겪는 가운데 지난 16일 일본의 자동차 관세가 먼저 15%로 낮아지면서 한일 관세가 역전된 상황인데요.
앞서 여 본부장은 우리도 최대한 빨리 15%가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면서도 일희일비하지 않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인천공항 현장 연결해보겠습니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이번에는 USR 대표 그리고 의회 주요 인사들 만나서 전반적인 협상 상황과 그리고 비자 문제 이슈 해결을 위해서 협의를 하고 왔습니다.
[기자]
미국 측에서는 비자 문제 관련해서 어떤 발언이 있었나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진행 중인 상황이기 때문에 저희가 구체적인 내용은 말씀드리기가 어려운데.
미국 측도 문제의 심각성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자]
자동차가 당장 급하게 됐는데.
자동차 관세 따로 논의를 하셨습니까?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그 부분은 저희도 심각성을 충분히 인지를 하고 있고 최대한 빨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기자]
우리 측에서 통화스와프 문제 얘기했을 때 미국 측에서 반응이 어땠을까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저희는 이번에 일본과 한국은 다르다는 부분, 그 부분을 최대한 저희가 설명하고 그리고 왔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조금 기다려주시면 좋겠습니다.
[기자]
미국이 아직도 일본 모델을 고집하고 있나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저희는 일본과 한국은 다르다, 그런 부분을 여러 가지 객관적인 자료와 분석을 통해서 저희가 제시를 하고 그리고 최대한 설득을 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협상 진행 내용은 말씀드리기가 쉽지 않음을 양해를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자]
직접투자 비율과 관련해서 미국이랑 우리랑 제시한 숫자 간단하게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구체적인 내용은 저희가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죄송합니다.
[기자]
의견을 좁혔다, 아니다로 간단하게.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진행 중인 과정이라고 생각을 해 주시고요.
저희는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기자]
지금까지 미국이 제시한 요구조건을 종합해보시면 15% 상호관세를 적용받는다고 해도 무의미할 정도로 무리하다고 평가하시나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그런 부분 제가 답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이렇게 일찍 나오셨는데 죄송합니다.
저희가 국익에 직결되는 이슈다 보니까 구체적인 내용을 말씀드리는 게 국익에 반할 수 있는 측면도 있고.
하여튼 저희는 국익을 최우선에 두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렇게 말씀드릴게요.
[기자]
마지막으로 간단하게 방미 이번에 가신 성과를 짧게 말씀해 주신다면.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전반적으로 과정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되고.
아까 말씀드렸지만 USTR 대표랑 의회 영향력 있는 주요 의회 인사들 상대로 아웃리치하면서 전반적인 협상 진행 상황 특히 우리 비자 이슈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를 했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