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지난해 태어난 아기가 30년 전의 3분의 1에 불과하고, 결혼 건수도 30년 전의 절반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심각한 저출산 현상을 한 세대 간의 추이로 보여주는 통계가 나왔습니다.
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1995년 태어난 아기는 71만 5천 명,
지난 2023년 23만 명으로 최저를 기록한 뒤 지난해 반등했습니다.
그래도 23만 8천여 명에 그쳤습니다.
30년 전의 33% 수준입니다.
이에 따라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도 1.63명에서 0.75명으로 54.2% 줄었습니다.
OECD 평균은 '95년 1.77명에서 지난 2023년 1.43명으로 감소하는 데 그쳤습니다.
평균 출산 연령도 올라가 엄마가 33.7세로 30년 전보다 5.8세, 아빠가 36.1세로 5세 올라갔습니다.
이에 따라 35세 이상 고령 산모 출생아 수 비중이 4.8%에서 35.9%로 급증했습니다.
결혼한 뒤 첫째 아이를 낳을 때까지의 기간도 평균 2.5년으로 30년 사이 1년이 늘었습니다.
결혼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혼인 외 출생아 비중도 '95년 1.2%에서 지난해 5.8%로 5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혼인 건수는 '96년 정점을 찍고 2022년까지 감소하다 2023년 이후 2년 연속 늘었습니다.
그래도 지난해 22만2천4백 건에 불과해 30년 전에 비해 44.2% 감소했습니다.
외국인과 혼인비중도 3.4%에서 9.3%로 늘어나면서 연간 2만 건이 넘었습니다.
YTN 이승은입니다.
영상편집 : 이영훈
디자인 : 정하림
YTN 이승은 (s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해 태어난 아기가 30년 전의 3분의 1에 불과하고, 결혼 건수도 30년 전의 절반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심각한 저출산 현상을 한 세대 간의 추이로 보여주는 통계가 나왔습니다.
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1995년 태어난 아기는 71만 5천 명,
지난 2023년 23만 명으로 최저를 기록한 뒤 지난해 반등했습니다.
그래도 23만 8천여 명에 그쳤습니다.
30년 전의 33% 수준입니다.
이에 따라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도 1.63명에서 0.75명으로 54.2% 줄었습니다.
OECD 평균은 '95년 1.77명에서 지난 2023년 1.43명으로 감소하는 데 그쳤습니다.
평균 출산 연령도 올라가 엄마가 33.7세로 30년 전보다 5.8세, 아빠가 36.1세로 5세 올라갔습니다.
이에 따라 35세 이상 고령 산모 출생아 수 비중이 4.8%에서 35.9%로 급증했습니다.
결혼한 뒤 첫째 아이를 낳을 때까지의 기간도 평균 2.5년으로 30년 사이 1년이 늘었습니다.
결혼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혼인 외 출생아 비중도 '95년 1.2%에서 지난해 5.8%로 5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혼인 건수는 '96년 정점을 찍고 2022년까지 감소하다 2023년 이후 2년 연속 늘었습니다.
그래도 지난해 22만2천4백 건에 불과해 30년 전에 비해 44.2% 감소했습니다.
외국인과 혼인비중도 3.4%에서 9.3%로 늘어나면서 연간 2만 건이 넘었습니다.
YTN 이승은입니다.
영상편집 : 이영훈
디자인 : 정하림
YTN 이승은 (s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