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폭염·호우 반복…먹거리 물가 고공행진
7월 날씨, 3분기 물가 0.3%p·올해 물가 0.1%p 높여
"2000년대 대비 집중호우 24%·폭염 45% 급증"
7월 날씨, 3분기 물가 0.3%p·올해 물가 0.1%p 높여
"2000년대 대비 집중호우 24%·폭염 45% 급증"
AD
[앵커]
이번 여름 기록적인 폭염과 집중 호우에 채소와 과일값이 뛰면서 다가올 추석 물가가 걱정됩니다.
극단적인 7월 날씨가 3분기 물가를 끌어올리고, 전체 경제 성장률도 떨어뜨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박기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장을 보러온 소비자들, 더 저렴한 게 없는지 내내 주변을 살핍니다.
계속된 폭염과 집중호우에다 아직도 더위와 비가 반복되며 먹거리 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입니다.
지난 금요일 기준 깻잎은 평년 가격보다 17%, 배추는 지난달보다 20% 넘게 비싸졌고,
비에 취약한 수박이 평년보다 20% 넘게, 토마토는 25% 가까이 값이 뛰었습니다.
[이상록 / 서울 은평구 신사동: 채소가 상대적으로 많이 오른 것 같고요. 전체적으로 물가가 다 올라서 부담인 것 같아요. 가족 외식 겸 장보기를 많이 줄였어요.]
안정세를 보였던 국산 소고기와 돼지고기, 닭고기, 달걀값도 올랐습니다.
해수면 온도도 높아지면서 고등어와 오징어, 회 가격도 뛰었습니다.
추석 차례상에 오를 과일들도 올여름 더위를 이기지 못해 생산량이 크게 줄었습니다. 사과는 '금사과'로 불리던 지난해 추석 때보다도 3% 가까이 더 가격이 올랐고, 배는 35% 넘게 급등했습니다.
한국은행은 7월 폭염과 집중호우가 3분기 소비자 물가를 0.3%p, 올해 전체 물가 상승률도 0.1%p 끌어올릴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한은은 특히 집중호우와 폭염 빈도가 2020년대 들어 뚜렷하게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2020년대 집중호우 일수는 연평균 49일, 폭염 일수는 67일로 2000년대보다 각각 24%, 45% 급증했습니다.
이 같은 현상은 경제성장률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한은은 집중호우와 폭염 일수의 영향으로 2020년대 3분기 기준 경제성장률이 2010년대보다 0.1%p 줄었고 연간으로 보면 0.04%p 줄었다고 봤습니다.
[양준빈/ 한국은행 조사국 경기동향팀 과장 : 야외활동이 중심이 되는 건설업이나 농림업, 이제 대면서비스업들, 집중호우가 나면 1차원적으로 야외활동을 못 하니까 단기적으로 직접 피해가 발생하고요. 날이 많이 더워지면 조업 가능한 시간대가 제약돼서….]
한국은행은 이상기후 피해 급증은 우리나라 인프라가 과거의 기후를 토대로 설계돼 있기 때문이라며 장기 기후 변화 추세에 따라 재난대응체계를 구축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박기완입니다.
영상기자 : 이수연
디자인 : 김진호
YTN 박기완 (parkkw061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번 여름 기록적인 폭염과 집중 호우에 채소와 과일값이 뛰면서 다가올 추석 물가가 걱정됩니다.
극단적인 7월 날씨가 3분기 물가를 끌어올리고, 전체 경제 성장률도 떨어뜨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박기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장을 보러온 소비자들, 더 저렴한 게 없는지 내내 주변을 살핍니다.
계속된 폭염과 집중호우에다 아직도 더위와 비가 반복되며 먹거리 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입니다.
지난 금요일 기준 깻잎은 평년 가격보다 17%, 배추는 지난달보다 20% 넘게 비싸졌고,
비에 취약한 수박이 평년보다 20% 넘게, 토마토는 25% 가까이 값이 뛰었습니다.
[이상록 / 서울 은평구 신사동: 채소가 상대적으로 많이 오른 것 같고요. 전체적으로 물가가 다 올라서 부담인 것 같아요. 가족 외식 겸 장보기를 많이 줄였어요.]
안정세를 보였던 국산 소고기와 돼지고기, 닭고기, 달걀값도 올랐습니다.
해수면 온도도 높아지면서 고등어와 오징어, 회 가격도 뛰었습니다.
추석 차례상에 오를 과일들도 올여름 더위를 이기지 못해 생산량이 크게 줄었습니다. 사과는 '금사과'로 불리던 지난해 추석 때보다도 3% 가까이 더 가격이 올랐고, 배는 35% 넘게 급등했습니다.
한국은행은 7월 폭염과 집중호우가 3분기 소비자 물가를 0.3%p, 올해 전체 물가 상승률도 0.1%p 끌어올릴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한은은 특히 집중호우와 폭염 빈도가 2020년대 들어 뚜렷하게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2020년대 집중호우 일수는 연평균 49일, 폭염 일수는 67일로 2000년대보다 각각 24%, 45% 급증했습니다.
이 같은 현상은 경제성장률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한은은 집중호우와 폭염 일수의 영향으로 2020년대 3분기 기준 경제성장률이 2010년대보다 0.1%p 줄었고 연간으로 보면 0.04%p 줄었다고 봤습니다.
[양준빈/ 한국은행 조사국 경기동향팀 과장 : 야외활동이 중심이 되는 건설업이나 농림업, 이제 대면서비스업들, 집중호우가 나면 1차원적으로 야외활동을 못 하니까 단기적으로 직접 피해가 발생하고요. 날이 많이 더워지면 조업 가능한 시간대가 제약돼서….]
한국은행은 이상기후 피해 급증은 우리나라 인프라가 과거의 기후를 토대로 설계돼 있기 때문이라며 장기 기후 변화 추세에 따라 재난대응체계를 구축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박기완입니다.
영상기자 : 이수연
디자인 : 김진호
YTN 박기완 (parkkw061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