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2분기 실질소비 4년 반 만에 최대 감소...실질소득도 제자리

속보 2분기 실질소비 4년 반 만에 최대 감소...실질소득도 제자리

2025.08.28. 오후 12: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내수 부진에 올해 2분기 물가를 고려한 실질소비지출이 4년 반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하며 2분기 연속 줄었습니다.

실질소득도 5분기 만에 증가세를 멈췄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83만6천 원으로 1년 전에 비해 0.8% 늘었지만 물가를 고려한 실질소비지출은 1.2% 줄었습니다.

이 같은 감소 폭은 코로나19 사태 당시인 지난 2020년 4분기 이후 가장 큽니다.

실질소비지출 감소는 또 1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으로, 이 같은 현상은 지난 2020년 3분기와 4분기 이후 4년 반, 18분기 만입니다.

통계청은 지난 2분기 소비자 심리 지수는 상승세를 보였지만 국내외 사회경제적 불확실성이 커 소비 위축에 영향을 줬다고 밝혔습니다.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06만5천 원으로 1년 전보다 2.1% 늘었지만 물가를 고려한 실질소득은 0% 증가로, 2024년 1분기 이후 5분기 만에 최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통계청은 내수 불황에 따른 자영업자 감소 등으로 사업소득이 0.2% 증가에 그친 것을 주요 원인으로 분석했습니다.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402만 4천 원으로 1년 전에 비해 1.5% 증가하면서 8분기 연속 늘었습니다.

하지만 처분가능소득에 비해 소비지출이 늘지 않으면서 평균소비성향은 70.5로 1년 전보다 0.5%p 하락해 4분기째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45배로, 1년 전보다 0.09배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가구 처분가능소득을 가구원수로 나눈 뒤, 상위 20%의 소득이 하위 20%의 몇 배인지 나타내는 것으로, 배율이 커지면 빈부 격차가 느는 것을 뜻합니다.

다만 계절성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식적인 소득분배 개선 여부는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통해 판단할 수 있습니다.

기재부는 경기 진작과 민생안정을 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고효율 제품 구매비용 환급 등 2차 추경 사업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YTN 이승은 (s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