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60∼64세 연령대에서 10명 중 6명꼴로 연금소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년퇴직 후 소득이 끊겼지만 국민연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건데,
정부는 사회적 대화를 통한 단계적 정년 연장이 바람직하다고 밝혔습니다.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기자]
통계청은 재작년 기준으로 60∼64세 인구 415만 명 가운데 57%가 넘는 237만 명이 연금소득이 전혀 없다고 밝혔습니다.
연금소득엔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직역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 공·사적 연금이 포함됩니다.
정년퇴직으로 근로소득이 끊긴 일명 '소득 크레바스', 즉 소득 공백기 위험이 높은 60∼64세에서 10명 중 6명꼴로 연금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의미입니다.
43%인 177만 명은 연금을 받았는데, 월평균 수급 금액은 100만 4천 원이었습니다.
국민연금 수급자가 138만 명으로 78%를 차지했습니다.
국민연금을 받는 나이가 재작년 기준 62세에서 63세로 올라가면서 상대적으로 60∼62세 수급률은 낮았습니다.
[최재혁 / 통계청 행정통계과장 : 연령대가 높을수록 수급률은 높아지지만 월평균 수급금액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60∼64세 수급자가 받는 월평균 수급금액은 100만 4천 원으로 65세 이상 수급자보다 많습니다.]
연금을 1개 이상 받은 65세 이상 인구는 863만 명, 연금 수급률은 90.9%였습니다.
월평균 수급 금액은 69만 5천 원으로 1년 전보다 4만 5천 원 증가했습니다.
정부는 '소득 크레바스' 위험이 높은 고령층의 경제활동 확충을 위한 정년 연장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황종철 / 고용부 노동개혁정책관 : 기본적으로 국민연금이 2033년까지 65세 수급 개시 연령으로 조정이 되기 때문에 그에 맞춰서 정년 연장에 대한 이슈는 빨리 정하는 게 낫겠다. 그 과정에서 정리하는 게 맞을 것 같고요.]
사회적 대화를 통한 단계적 정년 연장이 바람직하다는 게 정부의 입장입니다.
YTN 오인석입니다.
촬영기자:정철우
영상편집:이영훈
디자인:정하림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60∼64세 연령대에서 10명 중 6명꼴로 연금소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년퇴직 후 소득이 끊겼지만 국민연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건데,
정부는 사회적 대화를 통한 단계적 정년 연장이 바람직하다고 밝혔습니다.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기자]
통계청은 재작년 기준으로 60∼64세 인구 415만 명 가운데 57%가 넘는 237만 명이 연금소득이 전혀 없다고 밝혔습니다.
연금소득엔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직역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 공·사적 연금이 포함됩니다.
정년퇴직으로 근로소득이 끊긴 일명 '소득 크레바스', 즉 소득 공백기 위험이 높은 60∼64세에서 10명 중 6명꼴로 연금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의미입니다.
43%인 177만 명은 연금을 받았는데, 월평균 수급 금액은 100만 4천 원이었습니다.
국민연금 수급자가 138만 명으로 78%를 차지했습니다.
국민연금을 받는 나이가 재작년 기준 62세에서 63세로 올라가면서 상대적으로 60∼62세 수급률은 낮았습니다.
[최재혁 / 통계청 행정통계과장 : 연령대가 높을수록 수급률은 높아지지만 월평균 수급금액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60∼64세 수급자가 받는 월평균 수급금액은 100만 4천 원으로 65세 이상 수급자보다 많습니다.]
연금을 1개 이상 받은 65세 이상 인구는 863만 명, 연금 수급률은 90.9%였습니다.
월평균 수급 금액은 69만 5천 원으로 1년 전보다 4만 5천 원 증가했습니다.
정부는 '소득 크레바스' 위험이 높은 고령층의 경제활동 확충을 위한 정년 연장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황종철 / 고용부 노동개혁정책관 : 기본적으로 국민연금이 2033년까지 65세 수급 개시 연령으로 조정이 되기 때문에 그에 맞춰서 정년 연장에 대한 이슈는 빨리 정하는 게 낫겠다. 그 과정에서 정리하는 게 맞을 것 같고요.]
사회적 대화를 통한 단계적 정년 연장이 바람직하다는 게 정부의 입장입니다.
YTN 오인석입니다.
촬영기자:정철우
영상편집:이영훈
디자인:정하림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