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금융당국이 최근 금융권의 해킹 사고를 분석한 결과, 외부 접속장비의 보안 취약점이 주요 공격 대상이 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금융감독원은 금융회사 458곳을 대상으로 금융IT 리스크 대응 대책회의를 열고 랜섬웨어 공격과 전산시스템 사고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특히, 제조사 기술 지원이 끝난 노후 접속 장비를 운영하거나 직접 인터넷망에 연결하는 등 보안 조치가 미흡한 경우 침해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고 경고했습니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네트워크와 시스템 접근 통제 강화, 주요 데이터 정기 백업과 복구 체계 강화 등 유의사항을 전달하고 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을 당부했습니다.
YTN 손효정 (sonhj071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금융감독원은 금융회사 458곳을 대상으로 금융IT 리스크 대응 대책회의를 열고 랜섬웨어 공격과 전산시스템 사고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특히, 제조사 기술 지원이 끝난 노후 접속 장비를 운영하거나 직접 인터넷망에 연결하는 등 보안 조치가 미흡한 경우 침해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고 경고했습니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네트워크와 시스템 접근 통제 강화, 주요 데이터 정기 백업과 복구 체계 강화 등 유의사항을 전달하고 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을 당부했습니다.
YTN 손효정 (sonhj071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