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올해 상반기 국내 은행이 15조 원에 가까운 당기순이익을 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을 보면,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14조 9천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4%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이자이익은 29조 7천억 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던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소폭 줄었습니다.
반면 비이자이익은 5조2천억 원으로 무려 53% 뛰었는데 상반기 환율과 시장금리가 떨어지면서 외환·파생 관련 이익과 유가증권 이익이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영업외손익은 1조5천억 원으로, 홍콩 주가연계증권 배상금 비용 등으로 1조4천억 원 손실을 기록했던 지난해 상반기보다 2조9천억 원이 늘며 흑자로 돌아섰습니다.
경기 둔화로 대출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대손비용은 3조2천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천억 원 늘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앞으로 경기둔화가 계속되면서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 등 취약부문을 중심으로 대손 비용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은행이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을 확충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YTN 손효정 (sonhj071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을 보면,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14조 9천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4%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이자이익은 29조 7천억 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던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소폭 줄었습니다.
반면 비이자이익은 5조2천억 원으로 무려 53% 뛰었는데 상반기 환율과 시장금리가 떨어지면서 외환·파생 관련 이익과 유가증권 이익이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영업외손익은 1조5천억 원으로, 홍콩 주가연계증권 배상금 비용 등으로 1조4천억 원 손실을 기록했던 지난해 상반기보다 2조9천억 원이 늘며 흑자로 돌아섰습니다.
경기 둔화로 대출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대손비용은 3조2천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천억 원 늘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앞으로 경기둔화가 계속되면서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 등 취약부문을 중심으로 대손 비용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은행이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을 확충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YTN 손효정 (sonhj071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