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 교량 붕괴는 전도방지장치 임의 제거 때문"

"안성 교량 붕괴는 전도방지장치 임의 제거 때문"

2025.08.19. 오후 2:5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지난 2월 10명의 사상자를 낸 세종-안성고속도로 교량 붕괴 사고 원인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작업 편의를 위해 보가 기울어지는 걸 막는 전도방지장치를 임의로 제거했고,

400t에 달하는 특수장비를 안전인증도 없이 후방 이동시키는 등 총체적인 안전 불감증이 문제였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차유정 기자!

자세히 전달해주시죠.

[기자]
네, 지난 2월 세종-안성 고속도로 건설공사를 하다가 상판 구조물이 붕괴하면서 1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는데요.

국토부 산하 사고조사위원회가 꾸려져 약 여섯 달 동안 원인을 조사했고 오늘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지목됐습니다.

사고는 특수장비로 50m가 넘는 교각과 교각 사이에 거더 그러니까 보를 얹는 작업을 한 뒤 장비를 후방으로 빼는 과정에서 발생했는데,

보가 옆으로 쓰러지는 걸 방지하기 위해 고정장치 이른바 스크류잭을 설치해야 합니다.

문제는 고정장치는 설치한 뒤 최종 안전 시설인 가로보를 설치한 뒤 해체해야 하는데

작업 편의를 위해 가로보를 타설하기도 전에 고정장치를 빼버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조사위는 분석 결과, 같은 하중에서 고정장치, 스크류잭이 제거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보가 붕괴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고정장치 임의 제거가 결정적 원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전방 이동작업만 안전 인증을 받은 특수장비를 후방으로 이동한 점도 또 다른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보를 얹을 때 사용하는 이 장비는 교각 위에 레일을 설치해 앞으로 나아가며 가설하는데

뒤로 이동할 때는 레일이 아닌 보를 직접 밟게 되어 전도에 취약했습니다.

이 장비는 관련 법상 전방이동 작업에 대해서만 안전인증을 받았지만, 업체가 법을 위반해 안전관리계획서를 작성했고 시공사와 발주청은 계획을 제대로 보지도 않고 수립·승인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국토부는 조사결과를 관계기관에 통보해 관련법 위반사항 검토와 행정처분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차유정입니다.


YTN 차유정 (chay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