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1분기 가계 여윳돈이 93조 원에 육박해 분기 기준 최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은행이 공개한 '2025년 1분기 자금순환' 잠정 통계를 보면, 개인사업자를 포함한 개인과 비영리단체의 1분기 순자금 운용액은 92조 9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순자금 운용액은 각 경제주체의 자금 운용액에서 자금 조달액을 뺀 금액으로, 지난해 4분기보다 30조 원 늘며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규모가 됐습니다.
한국은행은 연초 상여금이 들어오며 가계 소득이 증가한 가운데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 감소, 소비 둔화 등으로 여유 자금이 늘었다고 분석했습니다.
조달금을 고려하지 않은 가계 1분기 자금 운용 규모는 101조 2천억 원으로, 이 역시 지난 분기보다 30조 원가량 더 불어났습니다.
이 가운데 금융기관 예치금이 49조 7천억 원 늘었고, 국내외 지분증권과 투자펀드 운용액도 29조 3천억 원 늘었습니다.
또 명목 국내총생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분기 말 89.4%로 지난해 4분기보다 0.2%포인트 떨어져 여섯 분기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한국은행은 2분기는 수도권 주택거래가 늘어 가계부채 증가 폭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YTN 손효정 (sonhj071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한국은행이 공개한 '2025년 1분기 자금순환' 잠정 통계를 보면, 개인사업자를 포함한 개인과 비영리단체의 1분기 순자금 운용액은 92조 9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순자금 운용액은 각 경제주체의 자금 운용액에서 자금 조달액을 뺀 금액으로, 지난해 4분기보다 30조 원 늘며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규모가 됐습니다.
한국은행은 연초 상여금이 들어오며 가계 소득이 증가한 가운데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 감소, 소비 둔화 등으로 여유 자금이 늘었다고 분석했습니다.
조달금을 고려하지 않은 가계 1분기 자금 운용 규모는 101조 2천억 원으로, 이 역시 지난 분기보다 30조 원가량 더 불어났습니다.
이 가운데 금융기관 예치금이 49조 7천억 원 늘었고, 국내외 지분증권과 투자펀드 운용액도 29조 3천억 원 늘었습니다.
또 명목 국내총생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분기 말 89.4%로 지난해 4분기보다 0.2%포인트 떨어져 여섯 분기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한국은행은 2분기는 수도권 주택거래가 늘어 가계부채 증가 폭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YTN 손효정 (sonhj071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