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미국발 관세 여파로 주춤했던 수출이 지난달 다시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특히 반도체는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고 관세 직격탄을 맞은 자동차도 역대 6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황혜경 기자!
지난달 수출, 얼마나 오른 거죠?
[기자]
네, 6월 수출이 598억 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달 대비 4.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역대 6월 수출 가운데 최대 실적인데요.
지난 5월 수출이 전달 대비 마이너스였는데, 이번에 큰 폭으로 플러스 전환을 이룬 겁니다.
특히 조업일수를 감안하면 일 평균 수출은 6.8% 증가한 28억5천만 달러로 이 또한 역대 6월 기록 가운데 1위입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반도체와 선박 그리고 자동차 수출 실적이 인상적인데요.
먼저 반도체 수출액은 149억7천만 달러로 전달 대비 11.6%나 치솟아 사상 최대를 기록했고, 선박은 무려 63.4% 증가한 25억 달러로 넉 달 연속 증가했습니다.
또 4월부터 관세 여파로 대미 수출이 급감한 자동차도 63억 달러로 2.3% 증가했는데, 유럽에서 전기차를 중심으로 호조세를 보인 점 그리고 중고차 수출이 크게 증가한 점이 배경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출 양대시장인 미국과 중국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대미국 수출은 0.5% 줄어든 112억4천만 달러를 기록했고 중국으로는 2.7% 감소한 104억2천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이외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했는데요.
아세안 지역으로 반도체와 선박, 철강제품이 많이 팔렸고, 인도 수출도 15억9천만 달러를 기록해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전체 성적표는 어떻습니까?
[기자]
네, 올 상반기는 1월과 5월을 제외하면 모두 전년 동기 대비 플러스 성장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는 지난해 상반기와 비슷한 거로 나타났습니다.
1월부터 6월까지의 수출액은 3,347억 달러로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0.03%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는데요.
주요 수출 품목 가운데 하나인 석유제품이나 석유화학 제품이 수출 단가 하락과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 감소 등으로 두 자릿수 감소율을 보였고,
미국 관세 직격탄을 맞은 철강도 단가 하락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5.9% 감소했습니다.
반면 반도체와 컴퓨터, 무선통신 등이 전반적으로 호조세를 보였고 자동차도 하이브리드차 수출 증대로 30% 가까이 증가하면서 가까스로 보합세를 유지한 것으로 분석되는데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국 관세 조치와 중동 사태, 경기 회복세 둔화 등 전례 없는 글로벌 통상 무역환경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작년 수준을 유지했다면서
우리 기업들이 녹록지 않은 수출 여건에도 치열하게 시장 다변화와 품목 다변화를 위해 노력한 결과라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하반기에도 미국 관세 정책 변동성과 경기 회복 속도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걸로 보인다면서
대미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무역금융 공급이나 대체시장 발굴 등 수출 지원방안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YTN 황혜경입니다.
YTN 황혜경 (whitepaper@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발 관세 여파로 주춤했던 수출이 지난달 다시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특히 반도체는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고 관세 직격탄을 맞은 자동차도 역대 6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황혜경 기자!
지난달 수출, 얼마나 오른 거죠?
[기자]
네, 6월 수출이 598억 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달 대비 4.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역대 6월 수출 가운데 최대 실적인데요.
지난 5월 수출이 전달 대비 마이너스였는데, 이번에 큰 폭으로 플러스 전환을 이룬 겁니다.
특히 조업일수를 감안하면 일 평균 수출은 6.8% 증가한 28억5천만 달러로 이 또한 역대 6월 기록 가운데 1위입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반도체와 선박 그리고 자동차 수출 실적이 인상적인데요.
먼저 반도체 수출액은 149억7천만 달러로 전달 대비 11.6%나 치솟아 사상 최대를 기록했고, 선박은 무려 63.4% 증가한 25억 달러로 넉 달 연속 증가했습니다.
또 4월부터 관세 여파로 대미 수출이 급감한 자동차도 63억 달러로 2.3% 증가했는데, 유럽에서 전기차를 중심으로 호조세를 보인 점 그리고 중고차 수출이 크게 증가한 점이 배경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출 양대시장인 미국과 중국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대미국 수출은 0.5% 줄어든 112억4천만 달러를 기록했고 중국으로는 2.7% 감소한 104억2천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이외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했는데요.
아세안 지역으로 반도체와 선박, 철강제품이 많이 팔렸고, 인도 수출도 15억9천만 달러를 기록해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전체 성적표는 어떻습니까?
[기자]
네, 올 상반기는 1월과 5월을 제외하면 모두 전년 동기 대비 플러스 성장세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는 지난해 상반기와 비슷한 거로 나타났습니다.
1월부터 6월까지의 수출액은 3,347억 달러로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0.03%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는데요.
주요 수출 품목 가운데 하나인 석유제품이나 석유화학 제품이 수출 단가 하락과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 감소 등으로 두 자릿수 감소율을 보였고,
미국 관세 직격탄을 맞은 철강도 단가 하락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5.9% 감소했습니다.
반면 반도체와 컴퓨터, 무선통신 등이 전반적으로 호조세를 보였고 자동차도 하이브리드차 수출 증대로 30% 가까이 증가하면서 가까스로 보합세를 유지한 것으로 분석되는데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국 관세 조치와 중동 사태, 경기 회복세 둔화 등 전례 없는 글로벌 통상 무역환경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작년 수준을 유지했다면서
우리 기업들이 녹록지 않은 수출 여건에도 치열하게 시장 다변화와 품목 다변화를 위해 노력한 결과라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하반기에도 미국 관세 정책 변동성과 경기 회복 속도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걸로 보인다면서
대미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무역금융 공급이나 대체시장 발굴 등 수출 지원방안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YTN 황혜경입니다.
YTN 황혜경 (whitepaper@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