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이질 않는 스쿨존 사고...안전띠 미착용도 '여전'

끊이질 않는 스쿨존 사고...안전띠 미착용도 '여전'

2025.05.05. 오전 04:5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어린이가 차에 치여 숨지거나 크게 다치는 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안전띠를 채우지 않아 피해를 키우는 문제도 여전했는데요.

대책은 무엇인지, 이형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초등학교 근처를 걸어가던 9살 배승아 양은 만취운전 차량에 치여 숨졌습니다.

8살 조은결 군은 하굣길에 횡단보도를 건너다 신호 위반 버스에 부딪혀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후에도 4살배기가 차에 치여 참변을 당하는 등

어린이보호구역 사고는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스쿨존 사고 관련 어린이 피해자는 재작년보다 5% 넘게 늘었습니다.

사고는 등하교 시간에 집중됐는데, 오후 3∼4시 비중이 가장 컸습니다.

대부분 걷던 중에 차에 부딪히면서 크게 다치는 비율이 높았습니다.

[김상은 / 보험개발원 자동차보험통계팀장 : 차 안에 탑승 중 사고는 훨씬 경상 사고가 많은 데 (스쿨존 사고는 대부분) 걸어가다가 애들이 치인 거니까 훨씬 중상 정도가 높아요. 운전자 주의라든지 어린이 교통 지도 강화라든지 사고 예방 대책을 시행해야 할 문제이지….]

차에 탄 아이에게 안전띠를 채우지 않는 '안전 불감증'도 여전했습니다.

어린이가 다친 자동차 사고를 분석했더니, 10명 가운데 2명이 안전띠를 매지 않은 겁니다.

이럴 경우 사고 충격에 그대로 노출되는데, 실험 영상만 봐도 심각성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숨지거나 크게 다친 어린이 10명 가운데 4명이 안전띠를 매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보험개발원은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6살 미만이거나 체구가 작은 아이는 반드시 유아용 카시트에 앉혀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또 안전띠를 맬 때는 아이들 키에 맞춰 높이를 조절해 가슴을 지나가도록 제대로 착용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이형원입니다.


영상편집 : 이정욱
디자인 : 이가은




YTN 이형원 (lhw9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