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더미' 한전·가스공사, 1분기 이자만 1조 5천억..."요금 인상 시점 고민 중"

'빚더미' 한전·가스공사, 1분기 이자만 1조 5천억..."요금 인상 시점 고민 중"

2024.05.26. 오후 6:3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원가에 못 미치는 ’전기·가스’ 공급…부채 쌓여
부채 규모 올해 소폭 줄었지만…재무위기 ’여전’
"한전·가스공사, 올해 이자 4조∼5조 전망"
한전 43조 원대 누적 적자에…영업이익도 축소
가스공사 미수금 13조 5천억…사실상 영업손실
AD
[앵커]
재무위기 상황에 처한 한국전력과 가스공사가 올해 1분기 이자로만 1조 5천억 원을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빚을 감축하기 위한 자구노력에도 부채는 크게 줄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는 전기·가스요금 인상 시기를 물가 등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말 한국전력과 가스공사의 총부채는 250조 원에 육박하며 사상 최고치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국제 에너지 위기로 2022년 이후 원가에 못 미치는 전기와 가스를 공급한 결과입니다.

한전과 가스공사의 총부채는 올해 소폭 줄었지만, 재무 위기 상황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 이자 비용으로만 한전은 1조 천5백 억을, 가스공사는 4천 백억을 각각 부담했습니다.

두 회사가 1분기에 부담한 이자는 하루 평균 167억 원에 달합니다.

이런 추세면 한전과 가스공사는 올 한 해 4조∼5조 원을 이자로 지불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영업으로 벌어들인 돈을 고스란히 이자 비용으로 내는 셈입니다.

두 회사는 비핵심 부동산 매각과 투자 시기 이연, 임직원 급여 반납 등 다양한 부채 감축 노력에도 유의미한 수준으로 빚은 줄지 않고 있습니다.

한전은 43조 원대 누적 적자가 그대로 남아 있고, 고환율과 중동 정세 불안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흐름으로 영업이익 규모가 축소되는 모양새입니다.

가스공사는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 규모가 13조 5천억으로, 원가의 약 80%만 받고 가스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기와 가스 요금의 추가 인상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인상 시기를 놓고 물가 등 국민 경제에 미칠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안덕근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지난 8일 YTN '경제PICK' 출연) : 시기를 특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정상화 필요성은 있지만, 산업부 장관으로서 에너지요금을 올리면 우리 산업이 상당히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고려를 하고 있고, 적절한 시점이 언제가 될지 고민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재무 위기뿐 아니라 그동안 싼값에 에너지를 소비한 세대와 앞으로 추가 인상분을 부담해야 하는 세대 간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YTN 오인석입니다.


영상편집;한수민
디자인 ;김진호


YTN 오인석 (insukoh1@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당.점.사 - 당신의 점심을 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