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규제지역 무순위 '줍줍' 청약홈 의무 없어져...깜깜이 우려도

비규제지역 무순위 '줍줍' 청약홈 의무 없어져...깜깜이 우려도

2023.01.22. 오후 10:2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서울 4개 구를 제외한 전역이 부동산 규제지역에서 해제되면서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서 무순위 청약을 진행해야 할 의무가 사라졌습니다.

잔여 물량이 소진될 때까지 여러 차례 공지를 내고 청약을 반복하는 비효율이 줄어든다는 장점도 있지만, 경쟁률을 알기 어렵다는 점 등 소비자의 정보 비대칭성이 커져 '깜깜이' 분양이 진행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업계 등에 따르면 서울 성북구 '장위자이레디언트'는 지난 10~11일 무순위 청약을 진행했습니다.

이 단지는 일반분양 1천330가구 가운데 793가구가 계약해 계약률 59.6%를 기록했습니다.

시공사인 GS건설은 잔여 물량 537가구에 대한 무순위 청약 공고를 청약홈 홈페이지가 아닌 자체 분양 홈페이지에 올린 뒤 청약을 진행했습니다.

정부가 지난 5일부터 서울 4개 구를 뺀 나머지 지역을 모두 규제지역에서 해제하면서 청약 관련 규제도 완화됐기 때문입니다.

청약홈에 따르면 규제지역은 청약홈 시스템을 통해 무순위 접수를 해야 하지만, 비규제지역은 청약홈 사용이 선택사항입니다.

사업주체 자체적으로 무순위 공고를 내고 접수를 해도 되는 것입니다.

이에 향후 비규제지역에서 진행되는 무순위 청약은 사업주체 자체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질 전망입니다.

최근처럼 청약 인기가 식었을 때는 굳이 청약홈에 무순위 청약 공고를 내 청약 결과를 공개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에입니다.

또 청약홈에서 여러 차례 무순위 청약을 진행하면서 'n차' 무순위 청약 단지라는 낙인이 찍힐 부담도 줄어듭니다.

청약홈을 이용한 무순위 청약은 경쟁률이 1대 1을 넘으면 계약 결과와 무관하게 무순위 청약을 또 진행해야 하기에 당첨 후 포기자가 나오는 단지는 10차례 넘게 무순위 청약을 진행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사업주체가 자체적으로 진행하면 수요자가 직접 단지 분양 홈페이지를 수시로 접속해 정보를 확인해야 하고 경쟁률도 알 수 없습니다.



YTN 이동우 (dw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