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국내 은행이 지난 4년 동안 가상자산 거래소로부터 벌어들인 실명 확인 입출금 계좌 이용 수수료가 600억 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업비트와 빗썸, 코인원, 코빗 등 4대 가상자산 거래소가 실명 계좌 발급 계약을 맺은 은행에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낸 계좌서비스 이용 수수료는 583억 8천여만 원이었습니다.
거래소별로 보면 지난 4년간 업비트는 케이뱅크에 387억 9천여만 원의 수수료를 냈고, 빗썸과 코인원은 농협은행에 각 140억 4천여만 원과 40억 5천여만 원, 코빗은 신한은행에 14억 9천만 원을 지급했습니다.
특히 은행이 가상자산 거래소로부터 벌어들이는 수수료 액수는 점차 커지는 추세로, 실명 계좌 발급 은행 확대와 거래소의 복수 은행 제휴 등을 허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YTN 강희경 (kangh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업비트와 빗썸, 코인원, 코빗 등 4대 가상자산 거래소가 실명 계좌 발급 계약을 맺은 은행에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낸 계좌서비스 이용 수수료는 583억 8천여만 원이었습니다.
거래소별로 보면 지난 4년간 업비트는 케이뱅크에 387억 9천여만 원의 수수료를 냈고, 빗썸과 코인원은 농협은행에 각 140억 4천여만 원과 40억 5천여만 원, 코빗은 신한은행에 14억 9천만 원을 지급했습니다.
특히 은행이 가상자산 거래소로부터 벌어들이는 수수료 액수는 점차 커지는 추세로, 실명 계좌 발급 은행 확대와 거래소의 복수 은행 제휴 등을 허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YTN 강희경 (kangh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