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라이브] 폭우 속 전기차 운행 안전할까?...올바른 운행·대처법

[뉴스라이브] 폭우 속 전기차 운행 안전할까?...올바른 운행·대처법

2022.08.10. 오전 11:3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호준석 앵커, 김선영 앵커
■ 출연 : 문학훈 / 오산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LIVE'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이번 폭우 때 많은 분들이 걱정하시기도 하고 또 궁금해하시기도 한 부분이 차인데요. 차가 이번에 수천 대 침수가 됐죠.

특히 요즘에는 전기차 쓰는 분들이 많잖아요. 그래서 전기차가 폭우로 침수됐을 때 감전되는 건 아닌지 걱정하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전문가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산대 자동차학과 문학훈 교수님 모셨습니다. 어서 오세요.

[문학훈]
안녕하십니까.

[앵커]
어서 오십시오. 전기차가 감전 일단 걱정 많이 하셨거든요, 물에 잠겼을 때. 어떻습니까?

[문학훈]
결론적으로 말씀을 드리면 감전의 위험은 그렇게 많지 않다라고 일단 말씀을 드리고. 전기자동차 같은 경우는 고전압의 배터리를 사용해요, 보통 한 800볼트 정도 되는 고전압을 사용하다 보니까 외부에 차체와 전기가 연결이 되는 순간 차체를 손에 댔을 때 감전의 위험들이 있고 또 침수로 인한 전기들이 합선의 위험이 있는 것 아니냐고 말씀을 하시지만 실제 고전압 배터리 같은 경우는 방수 시설이 돼 있어요.

그래서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가 된다든지 이런 일들은 없고 혹시라도 만약에 물이 침투가 되더라도 거기에 전원을 차단하는 그런 기능들이 있어요. 그리고 쇼트가 일어난다든지 했을 때 릴레이나 아니면 퓨즈나 이런 것들이 차단이 되면서 고전압 배터리가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런 안전장치들이 있기 때문에 실제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감전의 위험은 그렇게 많지 않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가 있습니다.

[앵커]
많지 않은 겁니까? 없는 겁니까?

[문학훈]
없다고 말씀드리기는 곤란하고요. 그럴 수 있는 가능성들은 늘 자동차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상황도 생길 수 있다고 말씀드립니다.

[앵커]
그러니까 굉장히 낮다.

[문학훈]
낮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보통 전기차 몰면 차 하단에 배터리가 있기 때문에 물이 조금만 차올라도 그 배터리에 물이 닿아서 많은 분들이 걱정을 하는데 그런 상황에서 조심해야 되는 것들이 있을까요?

[문학훈]
고전압 배터리 같은 경우에 요즘 나오는 차들은 차량 밑부분에 장착돼 있어서 아무래도 물이 낮은 데 가더라도 배터리가 접촉될 수 있는 부분은 없지 않아 있어요. 그런데 그 고전압 배터리가 그런 문제들을 커버하기 위해서 고전압 배터리의 상단부, 하단부를 연결해 주는 부위에 실링을 해서 외부로부터 고전압 배터리로 물이 들어가서 문제가 생긴다든지 이런 것들을 사전에 다 대비를 해놨다고 그렇게 말씀드릴 수가 있습니다.

[앵커]
배터리는 방수처리가 완벽하게 돼 있다 하더라도 또 다른 전기 장치들이 있을 것 아닙니까? 그건 괜찮습니까?

[문학훈]
물론 그런 것들은 실제 차 안에 실내에 물이 찬다든지 아니면 우리가 보통 전기차 같은 경우는 앞에 보닛처럼 빈 공간이 있는 것처럼 트렁크라고 얘기를 해요.

그래서 그런 공간 밑에 모터라든지 전자장치들이 많이 장착돼 있는데 그런 부분에도 자동차 배선들 같은 경우는 실링이 돼 있어서 배선에 물이 들어가서 쇼트가 일어난다든지 하는 그런 문제들은 그렇게 많이 생길 것 같지는 않습니다.

[앵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차하고는 구조가 달라서 또 전기차 같은 경우에는 물이 차 안으로 들어차는 건 내연기관차보다 덜할 수 있다, 이런 얘기도 하더라고요.

[문학훈]
꼭 그렇지는 않고요. 구조적으로 도어라든지 또는 선루프라든지 이런 것들은 다 일반차하고 동일하게 장착돼 있기 때문에 전기차라고 해서 실내에 물이 차는 게 좀 덜하다고 말씀드릴 수는 없고 단지 전기차 같은 경우는 전자장치들이 기존에 있는 내연기관보다는 한 2배 정도 반도체 부품들이 들어가요.

그래서 그런 데 물이 들어갔다든지 했을 경우에는 아무래도 자동차에 문제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그런 문제점들은 있을 수 있습니다.

[앵커]
만약에 내가 전기차를 몰고 있는데 물에 침수가 됐다. 어느 정도, 완전히건 적게건. 그러면 어떤 점을 제일 주의해야 됩니까?

[문학훈]
물이 일반 차도 마찬가지겠습니다마는 전기차도 마찬가지로 우리가 봤을 때 타이어라고 하죠. 타이어의 반 정도 찼을 때는 사실 그 상태에서는 탈출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 중의 하나예요.

그건 지나가다가 더 많이 물이 있는 데를 가다 보면 오히려 시동이 꺼지거나 탈출하지 못하는 그런 상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경우에는 주행을 안 하시는 게 훨씬 더 유리합니다.

[앵커]
타이어 반을 기준으로.

[문학훈]
반 정도를 기준으로 해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배터리를 만지지 말아라라는 얘기도 있던데.

[문학훈]
배터리는 만지면 안 되고 일단 만질 수는 없어요. 일반 운전자들이 보닛을 연다든지 트렁크를 연다든지 하더라도 배터리 같은 경우는 다 숨겨져 있기 때문에 일반 운전자분들은 만지실 수 없습니다.

[앵커]
제가 너무 무식한 질문을 했군요. 커넥터를 만지지 마라, 이런 얘기도 있던데.

[문학훈]
고전압 배터리를 사용하는 차이다 보니까 특히 전기차 같은 경우 중요한 게 배터리와 모터입니다. 그래서 배터리에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서 고전압이 지나가서 모터를 구동하는 건데 그래서 딱 보면 전기차 같은 경우는 주황색으로 배선이 다르게 표시...

[앵커]
지금 화면에 나오고 있는.

[문학훈]
이건 고전압 배터리입니다. 그래서 이게 전체가 차량 밑에 장착이 돼 있는데 무게도 상당합니다. 그래서 전기차 같은 경우는 이 배터리의 무게가 1회 충전당 주행거리를 짧게 만드는 그런 원인이 제공되기도 하지만 배터리는 어쩔 수 없이 있어야 되는 거니까. 지금 저 자체가 차량 밑에 장착이 돼 있고 보통 현대기아 같은 경우는 저 모듈이 30~32개 들어가 있어요.

그래서 그게 다 직렬로 연결돼 있어서 800볼트 정도의 직렬 전기가 생성이 돼서 모터를 구동하게 되는. 그런데 이건 일반 운전자분은 볼 수 없으실 거고 보시면 혹시라도 보실 수 있는 것은 주황색으로 돼 있는 배선, 이런 배선들은 고전압이 지나가는 배선들이기 때문에 그런 배선들은 만지시면 감전의 위험도 없지 않아 있을 수 있다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런 것도 만질 수 있게 돼 있는 모양이군요, 주황색은.

[문학훈]
다 보입니다. 눈으로 볼 수는 있는데 그게 안에 배선이 들어가 있고 전부 절연체로 감싸져 있기 때문에 만지더라도 바로 감전되지는 않지만 혹시라도 어디 찢어져서 누전이 생긴다든지 했을 때 만지면 감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안 만지는 것이 훨씬 더 유리합니다.

[앵커]
교수님, 그러면 타이어 반까지 찼을 때 탈출이 제일 좋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그러고 나서 얼마 정도 있다가 다시 충전을 하고 사용할 수 있는 거예요?

[문학훈]
일단 물은 다 빠져야 되는 거고요. 그다음에 가능한 한 그 정도 물이 찼을 경우에 바로 시동을 거시는 것은 안 될 것 같고요. 바로 서비스센터를 가셔서 점검을 하시고 타시는 게, 일반 소비자들은 잘 모르시니까 서비스센터라든지 가셔서 점검을 하시고.

[앵커]
서비스센터 가려면 차를 몰고 가야 되는데.

[문학훈]
주행하시면 안 돼요. 시동을 걸면.

[앵커]
견인해서 가라는 말씀이신가요?

[문학훈]
네, 왜냐하면 시동을 걸게 되면 전기가 통전이 되면, 지금 화면에도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마는 브레이크등들이 다 들어와 있어요. 저 안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계세요.

반 정도 차 있는데도 불구하고 지금 브레이크를 밟고 있다는 건 안에 사람이 있다는 얘기거든요. 저런 경우는 빨리 탈출하는 게 오히려. 저건 물이 불어나는데 어느 정도 불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마찬가지입니다.

[앵커]
내연차도 마찬가지인가요?

[문학훈]
마찬가지입니다. 빨리 탈출하시는 게 좋고 지금 전기를 사용하고 있다는 거거든요. 그래서 물이 침수가 되면 전기배선에 물이 들어가서 쇼트가 일어나면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안 하시는 것이, 빨리 탈출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앵커]
여러 가지 걱정이 있었는데 교수님 말씀 듣고 보니까 내연기관차하고 전기차하고 폭우 때 침수 때 크게 더 염려해야 되는 것은 별로 없다라는 말씀으로 이해가 됐고요. 충전할 때는 어떻게 합니까?

예를 들면 비가 오는데 바깥에서 충전해야 되는 경우 그런 때는 괜찮습니까?

[문학훈]
요즘 충전시설이 주차장이라든지 실내주차장이라든지 이런 데도 많이 설치가 돼 있습니다마는 외부에 설치돼 있는 경우들이 많아요.

그래서 혹시 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마는 처마나 지붕이 굉장히 짧게 돼 있고 그러다 보니까 올 때는 비 맞고 충전해야 되는 그런 부분들이 있어요. 그래서 그런 경우에는 고무장갑 같은 것, 이런 걸 끼시고. 왜냐하면 물기에 의해서 감전 위험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앵커]
불가피하게 외부에서 해야 될 때는 장갑을 끼는 게 좋은 거군요.

[문학훈]
그런 게 좋죠. 실장갑이나 이런 걸 쓰시면 물이 들어가니까 손바닥이 고무로 돼 있는 장갑들을 시중에서도 사실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걸 끼시고 충전하시면 좋을 것 같고. 또 거기에도 한 네 단계의 감전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들이 있어요.

그래서 커넥터를 연결했을 때 그 위에 누르는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충전이 끊어진다든지 아니면 차량하고 충전기하고 통신을 통해서 전류를 흘려서 충전을 한다든지. 이런 여러 가지 감전을 예방할 수 있는 그런 기능들이 있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앵커]
아까 저희가 이 기획회의 할 때 이 뉴스 담당한 뉴스팀장의 어머님이 전기차 걱정되니까 고무장갑을 사주셨다 이러면서 어머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라라고 말씀드렸다는데.

[앵커]
지혜로우신 거네요.

[앵커]
굉장히 중요한 겁니다.

[앵커]
고무장갑이 굉장히 도구가 되고요.

[문학훈]
외부에 비를 혹시라도 맞고 비 올 때는 충전 안 하시는 게 좋기는 하지만 불가피하게 하실 경우에는 그런 고무장갑이나 이런 것 끼시고 하시면 좋고요.

정부기관이나 이런 데서 전기차 충전시설을 설치할 때 외부에 설치돼 있더라도 위에 지붕도 넓게 해 주시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가보시면 알겠지만 위에 비도 피할 수 있는 곳도 없고 그렇게 전기충전 시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래서 그런 것들은 필요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 정유신 팀장님, 어머님께 감사하다고 꼭 인사드리시고 꼭 고무장갑 잘 쓰시기 바랍니다.

고무장갑도 또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걸 이번에 알았네요. 그런데 물에 잠기고 나서 정비를 하고 쓰라고 하는데 어떻습니까?

이게 침수 정도에 따라 다를 것 같은데 이 차는 아예 더 이상 못 쓴다, 이런 정도가 되는 건 어느 정도 침수됐을 때 그런 건가요?

[문학훈]
거의 전체가 침수됐을 경우나 실내라든지 전장 부품들, 전기에 관련된 부품들이 사실 굉장히 많기 때문에 물이 들어가 있는 경우에는 다시 사용하기가 곤란하고요.

[앵커]
이건 내연기관차도 마찬가지인 거죠?

[문학훈]
내연기관도 마찬가지예요. 그런데 내연기관 같은 경우 엔진이 있기 때문에. 오히려 전기차는 그런 게 달려 있지 않지만 만약에 물이 어느 정도 찬 상태에서 주행하다가 엔진에 물이 들어가면 비용은 엄청나게 더 들어가게 됩니다.

그래서 그런 걸 제외하고는 전체 침수가 됐을 때는 실내에서부터 시작해서 전장 부품까지 다 교체를 해야 되는 그런 부분이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도 이렇게 기록적인 폭우 때문에 물에 잠기는 차들이 많이 나오다 보니까 중고차 살 때 속아 사는 것 아니냐. 벌써부터 이런 걱정들 많이 하시더라고요.

만약에 침수 차량을 구매하게 되면 또 굉장히 불이익을 받는 거기 때문에 어떤 부분을 살펴보면 알 수 있는 건가요?

[문학훈]
일단 운전자분들은 자차보험, 보험 처리를 일단 해야 돼요. 그런데 자기차량손해보험을 반드시 들어야지만 침수가 됐을 때 차량손해를 보험으로 처리할 수 있는데.

[앵커]
침수된 장소에 그냥 둬야 된다면서요? 혜택 받으려면.

[문학훈]
꼭 그렇지는 않고 사진으로 찍어놓으시고 왜냐하면 이 차가 어디에 위치해 있었느냐에 따라서 보험처리가 되고 안 될 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서 불법 주정차를 했다든지 통제구역에 차를 주차를 해놨든지 이랬는데 침수가 됐다. 이런 경우에는 보험처리하는 데 불이익을 받을 수가 있고요.

그래서 자차보험을 들어서 자기 차량 손해보험에 대해서는 수리를 할 수 있고. 그런데 차량 가격이 너무 낮은데 감가상각이 이뤄지다 보면 차량 가격이 낮은데 수리비는 너무 많이 나왔다.

이런 경우에는 자기가 또 돈을 더 내서 수리를 해야 되는 경우들이 있기 때문에 그런 경우는 조금 전에 말씀하신 것처럼 폐차를 한다든지 이럴 수 있고. 폐차를 했을 경우에는 2년 이내에 만약에 폐차를 했다, 침수 차량을. 그러면 등록세, 취득세 이런 것들은 무료로 해 주니까 그런 장점도 있다라고 말씀을 드릴 수 있습니다.

[앵커]
끝으로 저희가 침수차 골라내는 법은 어떻게 할 수 있느냐, 궁금해하시는데 그걸 좀 설명해 주시죠.

[문학훈]
일반적으로 운전하시는 분들이 알기는 어렵기는 한데 사람의 손이 잘 안 들어가거나 가장 쉽게는 시트벨트 있지 않습니까? 시트벨트가 그 안에 벨트 자체가 감겨져 있고 사람 손이 잘 안 들어가요.

그래서 어떤 분들은 그걸 통째로 교환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만약에 교환이 안 된 경우에는 벨트를 빼보시면 거기에 흙탕물이 있거나 이런 경우.

[앵커]
그걸 끝까지 잡아서 빼보면.

[문학훈]
끝까지 잡아빼시면 저 밑에 바닥에 흙탕물이 있다고 하면 이건 침수차라고 보셔도 무관합니다.

[앵커]
안전벨트 통째로 가는 분들이 늘어날까 봐 이것도 걱정되는 부분이네요. 침수차를 잘 선별하는 법도 기억을 해 두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오산대 자동차학과 문학훈 교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