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연말까지 약 3개월이나 남았지만, 주요 시중 은행들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은 이미 연초 억제 목표로 잡은 5%에 달해 가계대출이 사실상 동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 등 5대 시중은행의 7일 현재 가계대출 잔액은 703조4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작년 12월 말 670조1천억 원과 비교해 4.97% 늘어난 규모입니다.
연초 당국이 제시한 증가율 목표 5∼6%에 거의 근접한 셈입니다.
은행별 증가율을 보면 NH농협이 7.14%로 가장 높고 하나은행 5.23% 순입니다.
KB국민은행도 5.06%이고 우리은행은 4.24%이지만 이달 말이나 다음 달 5%대에 진입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나마 신한은행이 3.16%로 다소 여유가 있는 상황입니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올해 들어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5.09% 증가했고 신용대출이 10.14% 늘어났습니다.
특히 전세자금대출은 무려 9개월여 만에 105조2천억 원에서 121조7천억 원으로 15.68%나 증가했습니다.
올해 불어난 가계대출 33조2천억 원 가운데 49.56%가 전세자금대출이었습니다.
YTN 박병한 (bhpark@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 등 5대 시중은행의 7일 현재 가계대출 잔액은 703조4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작년 12월 말 670조1천억 원과 비교해 4.97% 늘어난 규모입니다.
연초 당국이 제시한 증가율 목표 5∼6%에 거의 근접한 셈입니다.
은행별 증가율을 보면 NH농협이 7.14%로 가장 높고 하나은행 5.23% 순입니다.
KB국민은행도 5.06%이고 우리은행은 4.24%이지만 이달 말이나 다음 달 5%대에 진입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나마 신한은행이 3.16%로 다소 여유가 있는 상황입니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올해 들어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5.09% 증가했고 신용대출이 10.14% 늘어났습니다.
특히 전세자금대출은 무려 9개월여 만에 105조2천억 원에서 121조7천억 원으로 15.68%나 증가했습니다.
올해 불어난 가계대출 33조2천억 원 가운데 49.56%가 전세자금대출이었습니다.
YTN 박병한 (bhpark@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