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출처 = YTN
AD
자산 가격 상승에 대한 불안, 생계의 어려움, 취업난 등으로 인해 청년들이 고금리 제2금융권 대출 등에 몰리면서 올해 20대 채무불이행 규모가 1조 2천억 원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30일 정의당 장혜영 의원이 신용정보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 말까지 금융채무불이행자가 된 20대는 총 8만 3천여 명으로 집계됐다. 금액으로 보면 1조 2,040억 원에 달한다.
이는 이미 지난 한 해 동안 집계된 20대 채무불이행 금액을 넘어선 것이면서 최근 5년 동안 가장 큰 규모이기도 하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올해 말 20대 금융채무불이행자는 12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뿐 아니라 장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6월 말)까지 20대 대출자의 저축은행 신용대출 잔액은 2조 5,327억 원이다.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6개월 만에 4,487억 원 늘어난 것인데, 올해 6개월 동안 늘어난 금액이 지난해 1년 동안 늘어난 액수보다 크다.
30대의 올 상반기 신용대출 잔액도 6조 6,156억 원으로 조사됐다. 상반기에만 1조 1,639억 원 늘어 지난 한 해 늘어난 규모(1조 2,853억 원)에 근접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9월 현재 저축은행 신용대출 금리는 은행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최대 19%에 이른다. 높은 금리에도 불구하고 청년들의 대출 수요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장혜영 의원은 "올해 초 청년 확장실업률이 27%를 넘는 등 청년들의 삶이 그 어느 때보다 불안한 상황이라 많은 청년이 고금리와 신용 위험에 빠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급격하게 금융채무불이행자로 등록되는 청년들이 늘어나는 등 심각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만큼 빚을 더 내주는 정책보다는 청년 실업 부조의 문턱을 더 낮추고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YTN digital 문지영 (moon@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30일 정의당 장혜영 의원이 신용정보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 말까지 금융채무불이행자가 된 20대는 총 8만 3천여 명으로 집계됐다. 금액으로 보면 1조 2,040억 원에 달한다.
이는 이미 지난 한 해 동안 집계된 20대 채무불이행 금액을 넘어선 것이면서 최근 5년 동안 가장 큰 규모이기도 하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올해 말 20대 금융채무불이행자는 12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뿐 아니라 장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6월 말)까지 20대 대출자의 저축은행 신용대출 잔액은 2조 5,327억 원이다.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6개월 만에 4,487억 원 늘어난 것인데, 올해 6개월 동안 늘어난 금액이 지난해 1년 동안 늘어난 액수보다 크다.
30대의 올 상반기 신용대출 잔액도 6조 6,156억 원으로 조사됐다. 상반기에만 1조 1,639억 원 늘어 지난 한 해 늘어난 규모(1조 2,853억 원)에 근접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9월 현재 저축은행 신용대출 금리는 은행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최대 19%에 이른다. 높은 금리에도 불구하고 청년들의 대출 수요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장혜영 의원은 "올해 초 청년 확장실업률이 27%를 넘는 등 청년들의 삶이 그 어느 때보다 불안한 상황이라 많은 청년이 고금리와 신용 위험에 빠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급격하게 금융채무불이행자로 등록되는 청년들이 늘어나는 등 심각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만큼 빚을 더 내주는 정책보다는 청년 실업 부조의 문턱을 더 낮추고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YTN digital 문지영 (moon@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