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 세계 유니콘기업 291개...유일한 한국 기업은?

올해 전 세계 유니콘기업 291개...유일한 한국 기업은?

2021.08.27. 오전 08:4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올해 상반기에만 전 세계적으로 291개 기업이 유니콘으로 신규 등극한 가운데, 한국은 단 1개 유니콘기업만을 배출했다. 유니콘기업이란 기업가치 10억 달러(한화 약 1조 1,732억 원) 이상의 비상장 기업을 뜻한다.

26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기술기업 및 스타트업 전문 미국 시장조사기관 CB 인사이트의 글로벌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국가별 유니콘기업 배출과 투자 생태계 현황을 분석했다. 코로나19 확산의 타격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의 악재 상황에서도 올해 1~7월 291개 글로벌 기업이 유니콘으로 새로이 등극했으며, 이 중 미국기업이 58.1%(169개), 중국기업이 8.9%(26개)를 차지했다. 우리나라에서 탄생한 유일한 유니콘기업은 '마켓컬리'였다.

올해 신규진입한 기업 포함 총 779개의 글로벌 유니콘기업이 존재하며, 보유순위로 집계한 세계 5강은 미국(388개), 중국(157개), 인도(36개), 영국(31개), 이스라엘(18개) 순이었다. 미국·중국이 전체 유니콘의 70%를 보유한 가운데, 한국은 1.4%(11개)를 보유하여 세계 10위로 집계됐다.

전경련

미래를 지배할 유망산업을 짐작할 수 있는 유니콘 산업분야 상위 5개는 핀테크, 인터넷 소프트웨어·서비스, 전자상거래, AI, 헬스 순이었으며, 미국· 중국이 상위 5곳 산업분야 62.8%(332개)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은 AI와 인터넷 소프트웨어·서비스 분야 진출이 전무하고 기타산업 등 상대적으로 비유망 분야에 편중돼 미래형 산업 진출에 제한적이었다.

스타트업에 대한 글로벌 투자현황(2018~2020)을 살펴보면, 미·중이 전 세계 투자금액의 72.8% 이상을 유치한 가운데 한국은 단 1.5%만을 차지했다. 한국과 투자유치 규모가 유사한 중견국인 이스라엘은 유니콘 배출 숫자 상으로 세계 5강(18개)일 뿐만 아니라 사이버안보, AI, 핀테크 등 첨단분야에 집중되어 있어 한국과의 대비가 컸다.

투자 규모 및 투자 단계별 분석을 살펴보면, 1억 달러 이상 대형 투자에 한정해서 볼 경우 미중이 79.6%를 유치한 가운데 한국은 1.1%에 머물렀다. 지난 3년간의 글로벌 대형투자 유치(1억$ 이상) 총금액은 중국(1,482억5천$)이 미국(1,481억7천$)을 앞질러 중국 기업과 산업의 미래 가능성을 짐작하게 했다. 단계별 투자의 경우 한국은 세계 5강 대비 스타트업의 초기투자 비중이 큰 반면 성장기 스타트업의 레벨업에 필수적인 중후기투자 비중이 작아, 스타트업이 유니콘으로 도약하는 과정에서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세계 주요 유니콘 강국의 엑시트는 M&A를 중심으로(82.8%) 이루어지는 반면, 한국은 M&A(52.9%)를 통한 투자회수시장이 경직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엑시트란 투자자가 투자금을 회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 유니콘기업의 엑시트 사례를 보면 현재까지 카카오, 우아한형제들, 쿠팡, 크래프톤이 엑시트에 성공했으나 우아한형제들의 경우 글로벌 M&A에 대한 국내의 부정적 인식으로 엑시트 과정에서 진통을 겪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한국은 지난해 처음으로 서울이 글로벌 도시창업생태계 세계 20위에 진입하는 등 생태계가 발전하고 있으나 유니콘 세계 5강국과 비교하여 여전히 개선점이 있다"며 "더 많은 유니콘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대형투자 및 중후기투자의 규모를 확대해 성장기 스타트업을 유니콘으로 도약시키는 모멘텀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고, M&A 엑시트가 활성화돼 투자금 회수와 재투자의 선순환 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를 위해 국내 대기업 자본이 벤처투자에 활용될 수 있도록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YTN digital 정윤주 (younju@ytnplus.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