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표류해온 '해상풍력단지'...정부 주도로 확 바뀐다

장기 표류해온 '해상풍력단지'...정부 주도로 확 바뀐다

2020.07.18. 오전 07:4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10여 년 겉돈 서남해 해상풍력, 민관합의로 탄력
’강한 해풍’ 발전원 해상풍력, 신재생에너지의 축
민간에만 맡기지 않고 사업 초기부터 정부가 주도
AD
[앵커]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해상풍력이 훌륭한 발전원으로 기대되지만 사업자와 주민의 깊은 갈등으로 사업이 오랫동안 표류해왔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직접 나서 추진하기로 했는데요, 적합부지 발굴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사업을 주도하고 인허가도 간소화하기로 했습니다.

이광엽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남해 해상풍력 사업은 지역 주민과의 어업권 갈등 등으로 사업이 10년 넘게 겉돌았습니다.

최근 민관협의회에서 가까스로 합의가 이뤄진 덕분에 전북 고창과 부안 해역의 해상풍력 단지 건설에 탄력이 붙게 됐습니다.

대규모의 해상풍력 단지로는 서남해(2.4GW)를 비롯해 신안(8.2GW), 울산·동남권(6GW) 등 세 곳이 있지만 본격적인 사업에는 아직 착수하지 못했습니다.

탐라와 영광 등 세 곳에서만 해상풍력이 소규모로 가동되고 있을 뿐입니다.

우리나라 입지에서는 24시간 365일 강한 해풍을 발전원으로 쓸 수 있는 해상풍력은 신재생 에너지 시대의 가장 중요한 축입니다.

정부는 오는 2030년 12GW 준공으로 '해상풍력 세계 5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이젠 민간에만 맡기지 않고 사업 초기부터 적극 나서기로 했습니다.

[윤성혁 / 산업부 재생에너지산업과 과장 : 이런 사례는 앞으로 국내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에도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롤모델이기 때문에 서남해 해상풍력의 합의, 그리고 양해각서 체결이 앞으로 우리 해상풍력의 보급에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입지정보도 구축 등을 통해 해상풍력에 적합한 부지를 직접 발굴합니다.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집적화 단지 형태로 개발하면서 인허가 통합기구를 설치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주민이나 지역과 개발 이익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가장 큰 난관인 주민 설득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12GW 해상풍력 준공이 이뤄지면 연간 8만7천 개 수준의 많은 일자리가 생깁니다.

해상풍력은 조선, 기계, 철강 등 제조업이나 건설업과의 연계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양이원영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여러 부처에 걸쳐서 복잡한 인허가 절차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정부가 주도하게 되면 부처간 칸막이를 뛰어넘어서 부처간 서로 협력해서 이런 해상풍력과 같은 대규모 단지를 같이 개발하는 그런 역할을 하겠다….]

유럽에서는 오는 2040년쯤 해상풍력이 발전량 1위 에너지원으로 자리를 잡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우리나라도 더 늦기 전에 산업 경쟁력을 갖춰야 할 때라는 게 정부의 판단입니다.

YTN 이광엽[kyuplee@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YTN 프로그램 개편 기념 특별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