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IMF' 논란...1997년과 지금은 무엇이 다를까?

'제2의 IMF' 논란...1997년과 지금은 무엇이 다를까?

2019.08.07. 오후 3:4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 진행 : 노종면 앵커, 박상연 앵커
■ 출연 : 정철진 / 경제평론가

◇ 앵커 : 그러면 이참에 일본 자금 같은 경우에 한일 갈등 국면에서 아예 보복 차원에서 투자했던 지분 같은 것들을 팔고 자금을 회수하는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 정철진 : 그게 한 3일 전부터 화두가 됐었죠. 결과적으로 그걸 언급했던 기사도 가짜뉴스였다 이렇게 해명도 나오고 했었는데요. 심지어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까지도 나와서 그건 말도 안 된다, 이런 얘기가 나온 것이 아마도 우리 경험에는 1997년 IMF 외환위기 당시에 일본이 보였던 그 행태였습니다.

그때 당시에는 우리가 단기 외채, 만기가 1년도 안 되는 것들이 굉장히 비중이 컸어요. 외환보유고 대비 4배가 단기 외채였거든요. 그거를 빌려주는 데가 어디였냐. 거의 일본 자금이 많았았는데 일본은 끝까지 그걸 부인하지만 실은 일본이 자금을 먼저 빼가면서 굉장히 경색된 측면이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도 일본은 계속 뭐라고 말하느냐 하면 IMF에서 위험하다고 하는 국가에 대해서 어떻게 단기외채를 만기 연장해 주느냐, 빼는 게 당연한 것 아니냐라는 게 일본 측의 반응이었고 우리는 일본이 굉장히 자금을 앞에 공격적으로 먼저 빼갔거든요. 그것 때문에 촉발했다라고 하는.

그러니까 계속해서 우리 입장에서는 일본이 또 이번에 경제 보복을 하니까 금융 쪽에서도 과거 IMF 외환위기와 같은 수법이 있지 않을까라고 하는 대비를 하고 있거든요. 그런데 여기에 대해서 김상조 정책실장은 가능성은 매우 낮다.

지금 우리 단기 외채 비중이 한 35% 그러니까 40% 미만으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IMF 외환위기 때는 380% 정도 됐었거든요. 그리고 지금 들어와 있는 엔화자금 성격들을 봤더니 이게 투자를 한다거나 아니면 공식적으로 대출 기간이 있는 대부금융업 쪽이라든가 이렇기 때문에 이것들을 급격하게 회수를 할 가능성은 낮다라고 해서 일단은 그렇게 언급을 하고는 있지만 외환시장 쪽에서는 한번 혹시나 공격들이 있지 않은가, 환투기들에. 이런 부분은 점검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앵커 : 일단 채권 시장에서 단기 외채를 빼가는지를 보는 것도 중요하겠네요?

◆ 정철진 : 채권 시장 전체에서의 외국인 수급도 지금부터는 굉장히 중요한 하나의 바로미터가 됩니다.

◇ 앵커 : 알겠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