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기한 지난 의약품 부작용 잇따라...일반의약품 '최다'

유통기한 지난 의약품 부작용 잇따라...일반의약품 '최다'

2013.10.10. 오후 5:0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유통기한이 지난 의약품을 팔거나 아예 의약품 유통기한을 변조하는 사건이 잇따르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전문의약품보다는 일반의약품을 복용했다가 피해를 당한 사례가 많았는데, 제도 개선이 필요해보입니다.

전준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외국에서 들여와 판매된 건강기능식품입니다.

임산부들이 주로 먹는 철분제부터 일반 건강 보조제까지 다양한데, 유통기한이 몰래 변조된 뒤 수천만 원 어치가 전국의 병원으로 팔려나갔습니다.

문제는 이런 위조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약국에서 유통기한이 지난 의약품을 버젓이 파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점입니다.

[인터뷰:이준, 피해자]
"(비타민제를) 사서 한 이틀간 복용하고 난 뒤 가만히 설명서를 보니까 유효기간이 지난 걸 발견하게 됐습니다. 내용물을 살펴보니까 색깔도 변해 있었고, 굉장히 배신감을 느꼈습니다."

최근 3년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의약품 유통기한 관련 피해 사례를 보면 의사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일반의약품 피해가 전문의약품보다 3배 이상 많았습니다.

직접적인 부작용을 일으킨 사례도 일반의약품이 대부분이었는데, 주로 구토와 복통, 장염 등 소화기계 부작용이 많았습니다.

전문의약품은 유통기한과 제조번호가 포함된 확장바코드나 RFID 태그를 부착하도록 의무화돼 있지만, 일반의약품은 의무 표시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관리에 허점이 생기는 겁니다.

하지만 전문의약품이라고 해도 안심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병원 처방전에 따라 약국에서 조제한 의약품 역시 소비자 입장에서는 유통기한을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소비자가 보관해뒀다가 나중에 다시 복용할 경우 약효가 떨어져 병이 악화될 수 있고, 액체 상태인 의약품은 세균 번식으로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이조은, 한국소비자원 식의약안전팀]
"소비자들은 의약품을 살 때 대부분의 선택을 약사에게 맡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소비자들도 이제 약사가 의약품을 권유할 때 그 약의 유통기한이나 효능을 정확히 따져보는 게 중요하고요."

소비자원은 일반의약품에도 확장바코드나 RFID 태그 부착을 의무화하고, 조제의약품은 개별포장에 유효기간을 표시하도록 관계 기관에 요청하기로 했습니다.

YTN 전준형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