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주한미군 7공군 예하 제8전투비행단은 무인 공격기 MQ-9 리퍼 1대가 오늘(24일) 새벽 군산시 옥도면 말도리 인근 섬 해안에서 사고가 났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공공자산의 손상이나 인원의 부상은 아직 보고되지 않았으며 현재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미 공군은 MQ-9 리퍼가 어떤 임무를 수행했는지, 기체 자체가 추락한 것인지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일각에선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진 기체를 미군이 의도적으로 추락시켰을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MQ-9은 지난 9월부터 주한미군 부대에 첫 상시 배치됐는데, 당시 미군은 인도·태평양 전역에서 정보·감시·정찰 분야의 한미 공동 중요 임무 작전을 지원하고 새로운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연합 능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MQ-9 리퍼의 대당 가격은 약 440억 원 수준으로 알려졌는데, 최대 15km 상공에서 14시간 동안 머무르며 밤낮이나 악천후를 가리지 않고 감시 정찰이 가능한 성능을 갖고 있습니다.
YTN 김문경 (mk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그러면서 공공자산의 손상이나 인원의 부상은 아직 보고되지 않았으며 현재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미 공군은 MQ-9 리퍼가 어떤 임무를 수행했는지, 기체 자체가 추락한 것인지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일각에선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진 기체를 미군이 의도적으로 추락시켰을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MQ-9은 지난 9월부터 주한미군 부대에 첫 상시 배치됐는데, 당시 미군은 인도·태평양 전역에서 정보·감시·정찰 분야의 한미 공동 중요 임무 작전을 지원하고 새로운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연합 능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MQ-9 리퍼의 대당 가격은 약 440억 원 수준으로 알려졌는데, 최대 15km 상공에서 14시간 동안 머무르며 밤낮이나 악천후를 가리지 않고 감시 정찰이 가능한 성능을 갖고 있습니다.
YTN 김문경 (mk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