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에서 타결된 관세·안보 분야 협상 설명자료, 이른바 '팩트시트' 발표가 늦어진다는 우려에, 대통령실이 설명에 나섰습니다.
안보 분야에서 일부 문안 조정이 필요하다며, 정확한 발표 시점은 특정하기 조심스럽다고 밝혔는데요.
대통령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홍민기 기자!
대통령실이 설명한 내용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조금 전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가 기자들을 만나 밝힌 내용입니다.
한미 관세·안보 분야 협상 설명자료, 이른바 '팩트시트' 발표가 늦어진다는 질문에 답했는데요.
관세 협상이 잘 돼 팩트시트의 전체 텍스트가 거의 다 정리돼 있었는데, 최근 미국 시스템상 유관 부서가 한 번 더 검토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언급한 원자력 추진 잠수함에 대해 미국 내 논의가 진행되는 상황을 언급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관계자는 합의문의 '랭귀지', 즉 일부 문안에 대해 넣자, 혹은 빼자는 협의 과정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조금 전까지도 미국 측과 계속 입장을 주고받았다면서, 언제 발표될지를 특정해서 말하기는 조심스럽다고 언급했습니다.
지난달 29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거론된 '원자력잠수함'과 핵연료 재처리, 동맹 현대화 부분 등 두 정상이 논의한 내용은 모두 팩트시트에 포함될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원잠을 국내와 미국 가운데 어디에서 건조하게 되는 건지도 협상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리 측은 원잠 선체와 원자로를 모두 우리나라에서 만들고, 농축 우라늄만 미국에서 받아 오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이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우리가 여기서 짓는다'고 말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우리는 버지니아급 미국형 잠수함이 아닌 한국의 안보 수요에 맞는 원잠을 추진해야 한다며, 20% 정도 농도의 핵연료만 미국에서 받게 될 거라고 말했습니다.
협상의 다른 한 축인 통상 분야에선 한미 간 협의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마지막으로, 원잠을 비롯해 현재 다뤄지는 주제들이 엄청나게 거대한 만큼 문구 조정이 민감한 상황이라며,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지금까지 용산 대통령실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홍민기 (hongmg122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에서 타결된 관세·안보 분야 협상 설명자료, 이른바 '팩트시트' 발표가 늦어진다는 우려에, 대통령실이 설명에 나섰습니다.
안보 분야에서 일부 문안 조정이 필요하다며, 정확한 발표 시점은 특정하기 조심스럽다고 밝혔는데요.
대통령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홍민기 기자!
대통령실이 설명한 내용 자세히 전해주시죠.
[기자]
조금 전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가 기자들을 만나 밝힌 내용입니다.
한미 관세·안보 분야 협상 설명자료, 이른바 '팩트시트' 발표가 늦어진다는 질문에 답했는데요.
관세 협상이 잘 돼 팩트시트의 전체 텍스트가 거의 다 정리돼 있었는데, 최근 미국 시스템상 유관 부서가 한 번 더 검토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언급한 원자력 추진 잠수함에 대해 미국 내 논의가 진행되는 상황을 언급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관계자는 합의문의 '랭귀지', 즉 일부 문안에 대해 넣자, 혹은 빼자는 협의 과정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조금 전까지도 미국 측과 계속 입장을 주고받았다면서, 언제 발표될지를 특정해서 말하기는 조심스럽다고 언급했습니다.
지난달 29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거론된 '원자력잠수함'과 핵연료 재처리, 동맹 현대화 부분 등 두 정상이 논의한 내용은 모두 팩트시트에 포함될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원잠을 국내와 미국 가운데 어디에서 건조하게 되는 건지도 협상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리 측은 원잠 선체와 원자로를 모두 우리나라에서 만들고, 농축 우라늄만 미국에서 받아 오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이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우리가 여기서 짓는다'고 말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관계자는 또, 우리는 버지니아급 미국형 잠수함이 아닌 한국의 안보 수요에 맞는 원잠을 추진해야 한다며, 20% 정도 농도의 핵연료만 미국에서 받게 될 거라고 말했습니다.
협상의 다른 한 축인 통상 분야에선 한미 간 협의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마지막으로, 원잠을 비롯해 현재 다뤄지는 주제들이 엄청나게 거대한 만큼 문구 조정이 민감한 상황이라며,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지금까지 용산 대통령실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홍민기 (hongmg122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