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두 번째 시정연설…무채색 넥타이 차림
이재명 대통령 본회의장 들어서자 민주당 ’환호’
’투톱’ 정청래·김병기와 악수…최민희와 짧은 대화
							
				
				이재명 대통령 본회의장 들어서자 민주당 ’환호’
’투톱’ 정청래·김병기와 악수…최민희와 짧은 대화
AD
				
			
				[앵커] 
이재명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을 보는 여야 모습은 이번에도 극명하게 엇갈렸습니다.
민주당은 40차례 가까이 박수를 치면서 대통령을 크게 연호했지만, 국민의힘은 특검 수사에 항의하며 회의장에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본회의장 표정은,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다연 기자!
이 대통령의 두 번째 국회 시정연설이었습니다. 분위기는 어땠습니까?
[기자]
본회의장 안은 마치 이재명 대통령 팬 미팅 같았고, 바깥은 초상집 같았습니다.
이 대통령, 무채색에 가까운 넥타이 차림을 하고 오전 10시 6분쯤 본회의장에 들어섰습니다.
민주당 의원들과 일일이 악수하면서 중앙 통로를 이동했습니다.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가 앞장섰고요.
국정감사 기간 중심에 섰던 최민희 과방위원장과 짧은 대화를 하는 모습도 시선을 끌었습니다.
본격적인 연설이 시작된 뒤에도 사이사이 40차례 가까운 큰 박수가 끊임없이 터져 나왔고 연설이 끝난 뒤 민주당 의원들은 '이재명, 이재명'을 연호하며 배웅했습니다.
이후 SNS와 논평에서는 'APEC에 이은 A급 연설이었다', '정상국가로 돌아왔음을 증명한 시간이었다' 등 호평이 잇따랐습니다.
하지만 오늘 본회의장은 '반쪽'이었습니다.
국민의힘은 내란 특검이 추경호 전 원내대표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것을 항의하며 오늘 시정연설에 불참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시정연설 전에 야당석을 바라보며 '좀 허전하군요'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제1야당인 국민의힘은 본회의장 밖인 로텐더홀에서 검은색 마스크에 상복 차림으로 침묵시위에 나섰습니다.
자유민주주의가 사망했다는 의미의 '근조' 팻말과 '야당 탄압, 불법 특검'이라는 플래카드를 들고 이 대통령이 국회에 들어설 때 규탄했는데요.
흥분한 일부 의원은 범죄자 왔다, 꺼져라, 재판받으세요, 라고 외치기도 했습니다.
국민의힘은 특검 목표는 국민의힘을 내란정당으로 엮겠다는 것 하나라며 '전쟁'을 선포했는데, 장동혁 대표 발언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장 동 혁 / 국민의힘 대표 : 이재명 정권을 끌어내리기 위해서, 이재명의 5개 재판이 재개될 수 있도록 모든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이번이 (이 대통령의) 마지막 시정연설이 돼야 합니다.]
의원총회에 참석한 당사자, 추 전 원내대표는 수사에 당당하게 임하겠다며 불체포특권을 포기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야당이 대통령 시정연설을 보이콧 한 건 3년 전과 판박이인데요.
민주당은 지난 2022년 야당 시절, 이재명 당시 대표를 겨냥한 수사에 반발해 시정연설에 불참하고 규탄대회를 연 적이 있습니다.
[앵커]
시정연설을 앞두고 이뤄진 사전환담에도 국민의힘은 불참했죠.
[기자]
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측만 참석했습니다, 국민의힘은 빠졌고, 개혁신당은 부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지나고 보면 '차이'라는 건 크지 않고, 결국 우리가 얼마나 단결하느냐에 나라의 운명이 달려있다며 연대를 강조했습니다.
이에 우원식 의장 역시 긴축에서 확장으로 가는 정부의 재정 기조 변화에 여야의 협조가 필요함을 당부했습니다.
또, 국민의힘뿐만 아니라 지난해 시정연설에 불참한 윤석열 전 대통령을 겨냥하기도 했는데 발언 이어서 함께 듣고 오시죠.
[이 재 명 / 대통령 : 서로 연대하면서 힘을 모아 나갈 것이냐에 이 나라의 운명이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치단결은 못 할지라도 한 방향을 향해서 같이 가면 좋겠습니다. 우리 국회가 그런 역할을 하는 곳이잖아요?]
[우 원 식 / 국회의장 : 작년, 25년도 (예산안) 시정연설할 때는 대통령이 오지 않았죠. 그래서 참 서운했었는데…. 대통령이 이렇게 와서 시정연설을 하는 건 국민이 볼 때 든든한 마음이 생길 거로 생각합니다.]
관례에 따라, 환담에는 국회의장뿐만 아니라 대법원장과 헌법재판소장, 중앙선관위원장, 감사원장 등 5부 요인도 참석했습니다.
과거 이 대통령에게 유죄 취지 판결을 내려 국감 기간 여당의 표적이 됐던 조희대 대법원장도 당연히 함께했는데요.
불편한 기류가 흐르나 싶었지만, 이 대통령이 기관장들의 지원 덕에 APEC에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다며 감사를 표하자 조 대법원장이 '예'라며 짧게 화답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앵커]
민주당이 하루 만에 철회한 재판중지법 추진을 두고도 여진 이어지고 있죠.
[기자]
네, '재판중지법'은 현직 대통령의 재판을 멈추기 위한 법으로 민주당이 추진하려 했지만, 대통령실이 제동을 걸면서 하루 만에 철회됐죠.
사실상 '대통령이 정청래 대표 등 당 지도부의 과잉 행동을 경고한 거다', '당과 대통령실, 또 당내에서도 엇박자가 난 거다' 여러 해석이 나오는데요.
일단 오늘 정청래 대표가 우원식 의장, 이재명 대통령과 별도 회동을 하면서 분위기가 풀어진 거로 보입니다.
정 대표는 회동 뒤 기자들과 만나, 웃고 좋은 얘기만 했다며 대통령을 만나면 기분이 좋다고 말하며 확대해석에 선을 그었습니다.
대외적으로는 그렇지만, 내부적으로는 당과 대통령실뿐만 아니라, 당과 원내 지도부 간 사전교감이 없었다는 기류가 감지됩니다.
당 핵심 인사들은 YTN과 통화에서 박수현 수석대변인이 자가발전한 것 같다거나 당이 매번 고춧가루 뿌리는 역할을 해 대통령도 언짢을 수 있다고 말하며 엇박자가 없진 않다고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국민의힘은 앞에서는 법을 철회하는 척하면서 뒤로는 죄를 없애려는 거라며, 재판중지법과 배임죄 폐지는 한 몸이라고 주장합니다.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은, 국민은 '이재명 대통령 구하기'라는 국회의 막장 시나리오에 관객이 될 생각이 없다며 재판 재개를 요구했습니다.
대통령실과 조율해 재판중지법을 철회한다는 민주당의 설명을 두고는 대통령이 개인 재판을 위해 입법에 개입하는 쿠데타라고도 지적했습니다.
특히 재판 5개 중, 대법원에서 파기환송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재판 한 번이면 이 대통령은 민간인으로 돌아갈 거라고 유죄를 확신하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김다연입니다.
YTN 김다연 (kimdy081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을 보는 여야 모습은 이번에도 극명하게 엇갈렸습니다.
민주당은 40차례 가까이 박수를 치면서 대통령을 크게 연호했지만, 국민의힘은 특검 수사에 항의하며 회의장에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본회의장 표정은,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다연 기자!
이 대통령의 두 번째 국회 시정연설이었습니다. 분위기는 어땠습니까?
[기자]
본회의장 안은 마치 이재명 대통령 팬 미팅 같았고, 바깥은 초상집 같았습니다.
이 대통령, 무채색에 가까운 넥타이 차림을 하고 오전 10시 6분쯤 본회의장에 들어섰습니다.
민주당 의원들과 일일이 악수하면서 중앙 통로를 이동했습니다.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가 앞장섰고요.
국정감사 기간 중심에 섰던 최민희 과방위원장과 짧은 대화를 하는 모습도 시선을 끌었습니다.
본격적인 연설이 시작된 뒤에도 사이사이 40차례 가까운 큰 박수가 끊임없이 터져 나왔고 연설이 끝난 뒤 민주당 의원들은 '이재명, 이재명'을 연호하며 배웅했습니다.
이후 SNS와 논평에서는 'APEC에 이은 A급 연설이었다', '정상국가로 돌아왔음을 증명한 시간이었다' 등 호평이 잇따랐습니다.
하지만 오늘 본회의장은 '반쪽'이었습니다.
국민의힘은 내란 특검이 추경호 전 원내대표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한 것을 항의하며 오늘 시정연설에 불참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시정연설 전에 야당석을 바라보며 '좀 허전하군요'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제1야당인 국민의힘은 본회의장 밖인 로텐더홀에서 검은색 마스크에 상복 차림으로 침묵시위에 나섰습니다.
자유민주주의가 사망했다는 의미의 '근조' 팻말과 '야당 탄압, 불법 특검'이라는 플래카드를 들고 이 대통령이 국회에 들어설 때 규탄했는데요.
흥분한 일부 의원은 범죄자 왔다, 꺼져라, 재판받으세요, 라고 외치기도 했습니다.
국민의힘은 특검 목표는 국민의힘을 내란정당으로 엮겠다는 것 하나라며 '전쟁'을 선포했는데, 장동혁 대표 발언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장 동 혁 / 국민의힘 대표 : 이재명 정권을 끌어내리기 위해서, 이재명의 5개 재판이 재개될 수 있도록 모든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이번이 (이 대통령의) 마지막 시정연설이 돼야 합니다.]
의원총회에 참석한 당사자, 추 전 원내대표는 수사에 당당하게 임하겠다며 불체포특권을 포기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야당이 대통령 시정연설을 보이콧 한 건 3년 전과 판박이인데요.
민주당은 지난 2022년 야당 시절, 이재명 당시 대표를 겨냥한 수사에 반발해 시정연설에 불참하고 규탄대회를 연 적이 있습니다.
[앵커]
시정연설을 앞두고 이뤄진 사전환담에도 국민의힘은 불참했죠.
[기자]
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측만 참석했습니다, 국민의힘은 빠졌고, 개혁신당은 부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지나고 보면 '차이'라는 건 크지 않고, 결국 우리가 얼마나 단결하느냐에 나라의 운명이 달려있다며 연대를 강조했습니다.
이에 우원식 의장 역시 긴축에서 확장으로 가는 정부의 재정 기조 변화에 여야의 협조가 필요함을 당부했습니다.
또, 국민의힘뿐만 아니라 지난해 시정연설에 불참한 윤석열 전 대통령을 겨냥하기도 했는데 발언 이어서 함께 듣고 오시죠.
[이 재 명 / 대통령 : 서로 연대하면서 힘을 모아 나갈 것이냐에 이 나라의 운명이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치단결은 못 할지라도 한 방향을 향해서 같이 가면 좋겠습니다. 우리 국회가 그런 역할을 하는 곳이잖아요?]
[우 원 식 / 국회의장 : 작년, 25년도 (예산안) 시정연설할 때는 대통령이 오지 않았죠. 그래서 참 서운했었는데…. 대통령이 이렇게 와서 시정연설을 하는 건 국민이 볼 때 든든한 마음이 생길 거로 생각합니다.]
관례에 따라, 환담에는 국회의장뿐만 아니라 대법원장과 헌법재판소장, 중앙선관위원장, 감사원장 등 5부 요인도 참석했습니다.
과거 이 대통령에게 유죄 취지 판결을 내려 국감 기간 여당의 표적이 됐던 조희대 대법원장도 당연히 함께했는데요.
불편한 기류가 흐르나 싶었지만, 이 대통령이 기관장들의 지원 덕에 APEC에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다며 감사를 표하자 조 대법원장이 '예'라며 짧게 화답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앵커]
민주당이 하루 만에 철회한 재판중지법 추진을 두고도 여진 이어지고 있죠.
[기자]
네, '재판중지법'은 현직 대통령의 재판을 멈추기 위한 법으로 민주당이 추진하려 했지만, 대통령실이 제동을 걸면서 하루 만에 철회됐죠.
사실상 '대통령이 정청래 대표 등 당 지도부의 과잉 행동을 경고한 거다', '당과 대통령실, 또 당내에서도 엇박자가 난 거다' 여러 해석이 나오는데요.
일단 오늘 정청래 대표가 우원식 의장, 이재명 대통령과 별도 회동을 하면서 분위기가 풀어진 거로 보입니다.
정 대표는 회동 뒤 기자들과 만나, 웃고 좋은 얘기만 했다며 대통령을 만나면 기분이 좋다고 말하며 확대해석에 선을 그었습니다.
대외적으로는 그렇지만, 내부적으로는 당과 대통령실뿐만 아니라, 당과 원내 지도부 간 사전교감이 없었다는 기류가 감지됩니다.
당 핵심 인사들은 YTN과 통화에서 박수현 수석대변인이 자가발전한 것 같다거나 당이 매번 고춧가루 뿌리는 역할을 해 대통령도 언짢을 수 있다고 말하며 엇박자가 없진 않다고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국민의힘은 앞에서는 법을 철회하는 척하면서 뒤로는 죄를 없애려는 거라며, 재판중지법과 배임죄 폐지는 한 몸이라고 주장합니다.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은, 국민은 '이재명 대통령 구하기'라는 국회의 막장 시나리오에 관객이 될 생각이 없다며 재판 재개를 요구했습니다.
대통령실과 조율해 재판중지법을 철회한다는 민주당의 설명을 두고는 대통령이 개인 재판을 위해 입법에 개입하는 쿠데타라고도 지적했습니다.
특히 재판 5개 중, 대법원에서 파기환송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재판 한 번이면 이 대통령은 민간인으로 돌아갈 거라고 유죄를 확신하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김다연입니다.
YTN 김다연 (kimdy081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