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APEC 공식일정 개막...이 시각 미디어센터

경주 APEC 공식일정 개막...이 시각 미디어센터

2025.10.27. 오후 5:4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각국 취재진 ’북적’…일요일까지 미디어센터 운영
대테러 훈련 등 경비·보안 강화…곳곳 교통 통제
막 오른 ’APEC 주간’…이틀 동안 최종고위관리회의
AD
[앵커]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 정상회의 주간이 오늘 개막했습니다.

정상회의는 오는 31일 열릴 예정인데, 오늘 최종고위관리회의를 시작으로 경주 APEC은 공식 일정에 돌입했습니다.

경주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 김다연 기자!

[기자]
네, 경주에 마련된 국제미디어센터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공식 일정이 시작됐는데, 현장 분위기 어떻습니까?

[기자]
이곳 미디어센터는 어제부터 문을 열었는데, 전 세계 각국에서 모인 취재진이 이곳 미디어센터를 속속 채우고 있습니다.

센터 바깥은 경비와 보안이 강화됐고, 보문단지 일대 교통도 통제상태입니다.

정상들의 방문이 임박한 만큼, 오늘(27일) 아침엔 정상회의장 근처에서 긴급 대테러훈련이 진행되기도 했습니다.

국제적으로 큰 행사이다 보니, 축제처럼 들뜬 분위기가 나면서도 한편으론 긴장감도 감돕니다.

경주 APEC은 오늘부터 공식일정을 시작했습니다.

오늘 최종고위관리회의에서 각국 국장급, 실무책임자들이 모여서 의제를 조율하고 점검했습니다.

모레부터는 외교·통상 수장들이 모이는 합동 각료회의가, 내일부터 나흘 동안은 CEO 서밋이 개최됩니다.

그리고 31일부터 다음 달 1일, 그러니까 금요일부터 토요일까지는 하이라이트인 '정상회의'가 진행됩니다.

[앵커]
APEC 행사를 계기로 이뤄지는 주요국 정상회담도 관심입니다. 미 ·중 정상회담은 언제 열립니까?

[기자]
오는 30일로 예정돼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 일단 무역 전쟁 확전은 피한 모습입니다.

희토류 수출 통제와 추가 관세 부과를 다 유예하는 쪽으로 잠정 합의됐기 때문입니다.

APEC 의장국으로서 양국에 '담판의 장'을 마련해준 우리나라 역시 회담 결과에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 역시 미·중 정상회담이 잘 되면 그 후에 열리는 APEC 여러 회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있는데요.

사흘 뒤 정상들의 최종 담판이 이뤄질지가 관심입니다.

[앵커]
이재명 대통령에게도 이번 한 주는 외교적으로 중요한데, 지금까지 확정된 양자회담 일정도 다시 정리를 해보죠.

[기자]
먼저 이틀 앞으로 다가온 한미회담부터 보겠습니다.

미국과는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협상이 여전히 쟁점인데, 이번에도 타결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외신 인터뷰에서 논의 상황을 '교착 상태'로 표현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투자 방식과 규모, 일정, 그리고 손실과 이익을 나누는 방식 등 다 여전히 쟁점이라고 말했는데, 타결이 가까워졌다는 트럼프 대통령과는 온도 차가 느껴지는 대목입니다.

한일회담은 아직 일정이 조율 중입니다.

다카이치 총리와는 첫 회담이니만큼 친밀감을 우선 쌓고 양국이 수시로 왕래하는 '셔틀외교'를 유지하자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게 중요해 보입니다.

한중 정상회담은 APEC 정상회의 마지막 날인 다음 달 1일에 예정돼있습니다.

시진핑 주석이 한국을 찾는 건 11년 만으로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중국의 협력을 끌어내고 한중관계를 복원하는 게 핵심 과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모두 이 대통령이 그동안 강조해온 실용외교를 보여줄 기회이지만, 민감하고 쉽지 않은 현안이 줄줄이 놓여있어서 시험대이기도 합니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깜짝 회동 성사 여부도 초미의 관심사인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100% 열려있다고 말한 데 이어 김 위원장을 만나면 좋을 거라고 말하며 끊임없이 대화의 손짓을 보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외교책임자인 최선희 외무상이 러시아 일정으로 자리를 비우면서 둘의 회동이 성사되기는 어려울 거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립니다.

지금까지 경주 APEC 국제미디어센터에서 YTN 김다연입니다.


YTN 김다연 (kimdy081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