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판 소원’ 공방…국힘 "4심제, 대통령 위한 것"
"3심제, 사회적 약속"…일부 법원장 ’위헌’ 지적
일부 ’위헌 소지’ 지적에 민주 "법안 제대로 봐야"
"3심제, 사회적 약속"…일부 법원장 ’위헌’ 지적
일부 ’위헌 소지’ 지적에 민주 "법안 제대로 봐야"
AD
[앵커]
민주당이 추진하는 사법개혁, 그 가운데서도 '재판소원' 제도가 국정감사장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주식 거래 의혹이 불거진 민중기 특검의 수사 자격을 두고도 난타전이 이어졌습니다.
김다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민주당의 사법 개혁 구상이 발표된 다음 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는 재판 소원 제도에 대한 야당 질타가 이어졌습니다.
판결이 확정돼도 헌법재판소에서 다시 따질 수 있도록 하는 '4심제'의 목적은 단 하나, 이재명 대통령을 위한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주진우 / 국민의힘 의원 : 이재명 대통령과 그 공범에 대해서 안전판을 만드는 거예요. (판결이) 불리하게 나오면 헌법재판소에서 마지막으로 한 번 뒤집어보려는 거 아닙니까?]
일부 법원장은 사회적 약속인 3심제를 깨는 건 헌법에 정해진 사법체계에도 어긋난다며 야당 논리에 힘을 실었습니다.
[박준태 / 국민의힘 의원 : 여러분이 이재명 대통령 재판 중단하니까 더더욱 기세가 올라 가지고. 법원장님들, 민주당은 고개 숙인다고 멈추지 않습니다.]
[진성철 / 대구고등법원장 : 헌법상 사법권은 최고법원인 대법원과 각급 법원에 기속된다는 규정에 위반될 소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헌'이라는 취지의 일부 의견이 나오자, 민주당은 법안을 제대로 봤느냐고 쏘아붙였습니다.
[장경태 / 더불어민주당 의원 : 거기에 대해서 법원장이 덜컥대고 입장을 말씀하시면 정치를 하신 겁니다. 좀 더 신중해 주셨으면 좋겠다는 요청 드리고 싶습니다.]
여당은 '재판 소원'은 기본권 침해 유무를 따지기 위한 별도 재판이며, 4심제라는 건 잘못된 프레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전현희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아주 오래전부터 꾸준히 도입 필요성이 논의된 제도이고 헌법재판소는 법치주의를 실질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도라는 공식 입장을 밝혔습니다.]
당 지도부는 재판 소원제가 이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 해소를 위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정말 그 이유라면 공직선거법 251조의 '행위' 부분을 삭제하면 끝날 일이라며, 말이 안 된다고 일축했습니다.
비슷한 시각 정무위원회에선,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민중기 특별검사의 주식거래 의혹을 두고 여야가 난타전을 벌였습니다.
공소시효가 끝났어도 주식 매입 경위와 매도 시점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는 야당 주장에, 여당은 15년 전 사건을 꺼내는 이유가 뭐냐며 금감원 감사에나 집중하라고 맞받았습니다.
[김재섭 / 국민의힘 의원 : 종합감사 때 민중기 특검이 오셔서 직접 해명하는 자리를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박범계 / 더불어민주당 의원 : 민중기 특검 국감인 것 같아요. 결국은 김건희를 비호하기 위해서 그런 것 아닌가….]
민주당은 재판 소원 등을 연내에 처리할 기세고, 국민의힘은 '특검을 특검하라'고 맞서고 있어, 검찰·사법 개혁은 여야 대치의 최전선에 자리 잡을 전망입니다.
YTN 김다연입니다.
촬영기자 : 이상은, 이승창
영상편집 : 오훤슬기
디자인 : 정은옥
YTN 김다연 (kimdy081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민주당이 추진하는 사법개혁, 그 가운데서도 '재판소원' 제도가 국정감사장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주식 거래 의혹이 불거진 민중기 특검의 수사 자격을 두고도 난타전이 이어졌습니다.
김다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민주당의 사법 개혁 구상이 발표된 다음 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는 재판 소원 제도에 대한 야당 질타가 이어졌습니다.
판결이 확정돼도 헌법재판소에서 다시 따질 수 있도록 하는 '4심제'의 목적은 단 하나, 이재명 대통령을 위한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주진우 / 국민의힘 의원 : 이재명 대통령과 그 공범에 대해서 안전판을 만드는 거예요. (판결이) 불리하게 나오면 헌법재판소에서 마지막으로 한 번 뒤집어보려는 거 아닙니까?]
일부 법원장은 사회적 약속인 3심제를 깨는 건 헌법에 정해진 사법체계에도 어긋난다며 야당 논리에 힘을 실었습니다.
[박준태 / 국민의힘 의원 : 여러분이 이재명 대통령 재판 중단하니까 더더욱 기세가 올라 가지고. 법원장님들, 민주당은 고개 숙인다고 멈추지 않습니다.]
[진성철 / 대구고등법원장 : 헌법상 사법권은 최고법원인 대법원과 각급 법원에 기속된다는 규정에 위반될 소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헌'이라는 취지의 일부 의견이 나오자, 민주당은 법안을 제대로 봤느냐고 쏘아붙였습니다.
[장경태 / 더불어민주당 의원 : 거기에 대해서 법원장이 덜컥대고 입장을 말씀하시면 정치를 하신 겁니다. 좀 더 신중해 주셨으면 좋겠다는 요청 드리고 싶습니다.]
여당은 '재판 소원'은 기본권 침해 유무를 따지기 위한 별도 재판이며, 4심제라는 건 잘못된 프레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전현희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아주 오래전부터 꾸준히 도입 필요성이 논의된 제도이고 헌법재판소는 법치주의를 실질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도라는 공식 입장을 밝혔습니다.]
당 지도부는 재판 소원제가 이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 해소를 위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정말 그 이유라면 공직선거법 251조의 '행위' 부분을 삭제하면 끝날 일이라며, 말이 안 된다고 일축했습니다.
비슷한 시각 정무위원회에선,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민중기 특별검사의 주식거래 의혹을 두고 여야가 난타전을 벌였습니다.
공소시효가 끝났어도 주식 매입 경위와 매도 시점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는 야당 주장에, 여당은 15년 전 사건을 꺼내는 이유가 뭐냐며 금감원 감사에나 집중하라고 맞받았습니다.
[김재섭 / 국민의힘 의원 : 종합감사 때 민중기 특검이 오셔서 직접 해명하는 자리를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박범계 / 더불어민주당 의원 : 민중기 특검 국감인 것 같아요. 결국은 김건희를 비호하기 위해서 그런 것 아닌가….]
민주당은 재판 소원 등을 연내에 처리할 기세고, 국민의힘은 '특검을 특검하라'고 맞서고 있어, 검찰·사법 개혁은 여야 대치의 최전선에 자리 잡을 전망입니다.
YTN 김다연입니다.
촬영기자 : 이상은, 이승창
영상편집 : 오훤슬기
디자인 : 정은옥
YTN 김다연 (kimdy081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