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영상+] 한정애 "상당 부분 협의 도출...국익 최우선 원칙"

[현장영상+] 한정애 "상당 부분 협의 도출...국익 최우선 원칙"

2025.10.21. 오전 09:0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국정감사 2주차 일정이 이어지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한미관세협상과 사법개혁, 언론개혁안 등에 대한 언급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장 연결해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한정애 /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반갑습니다.

지난주 우리 정부 경제 통상사령탑들이 미국을 방문해 관세협상 후속 협의를 진행했습니다.

3500억 달러 규모의 금융패키지와 관련돼서 다수 쟁점에 대해서 상당 부분 진전을 도출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직 미국 측과는 추가적인 협의가 필요한 일부 쟁점이 나아 있습니다.

정부는 국익 최우선의 원칙하에 상호 호혜적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해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양국 간에 논의되고 있는 금융 패키지는 한미동맹 강화와 양국 제조업 부흥이라는 공동의 목표 하에 우리가 감내 가능한 수준에서 합의가 도출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통령실과 산업통상부를 비롯, 관계부처 간의 긴밀한 조율을 통해서 마지막까지 우리 외환시장의 민감성을 충분하게 반영하고, 또 진지하고 건설적인 대화로 가능한 한 APEC 계기 내에 의미 있는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노력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국회와도 적절한 시점에 관세협상의 결과를 공유하고 당정 간의 협력을 통한 후속조치 논의에도 만전을 기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졸속으로 추진한 한강버스의 민낯이 국감을 통해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20일인 어제 국토위 국정감사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버스 운행 중단이 예견된 것임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습니다.

다 아시겠지만 한강버스에 투입된 자금의 약 69%는 서울시가 조달하고 민간의 투자 금액은 2.8%에 불과한 비정상적인 구조로 민간 특혜 의혹도 불거졌습니다.

오세훈 시장은 이미 2007년에 시행된 한강수상택시로 매년 5~7억 원의 적자를 내며 혈세를 낭비한 바가 있습니다.

이번 한강버스도 제2의 수상택시와 같이 치적용 정치쇼 전철을 밟으며 혈세버스로 전락하는 것이 아닌지 우려스럽습니다.

민주당은 서울시민의 혈세가 낭비되지 않도록 한강버스사업과 관련된 의혹을 진상 규명하고 또한 진상 규명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겠습니다.

한강수상택시의 경우에 폐지하기 전에 3년 동안 한강수상택시를 사용한 인원은 100명이었습니다.

그 사업을 하기 위해서 서울시가 추산했던 하루 평균 사용자는2만 명이었는데요.

거기에는 한참 미달한 수준이었습니다.

민주당은 어제 사법개혁과 언론개혁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사법부에 대한 무너진 국민 신뢰를 회복하고...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