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우리 정부는 캄보디아 내 구금됐던 한국인 송환 뒤 후속 대책도 발표했습니다.
양국 합동 TF를 구성해 수사 정보를 공유하고, 국내에 확산하는 불법 구인 광고도 차단하기로 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홍민기 기자!
한국인들이 일단 송환됐는데, 이후 정부 대책도 설명해 주시죠.
[기자]
캄보디아에 파견됐던 정부 합동대응팀은 우선, 양국 공동의 TF를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취업 사기 등 이른바 '스캠 범죄'에 대해 양국 경찰이 정보와 증거를 공유하고, 범죄 연루자를 조기에 송환하기 위해 협력한다는 계획입니다.
캄보디아 정부는 한국인 관련 신고가 현지 경찰에 접수될 경우, 관련 정보를 우리 정부에 공유해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또, 전국 관서에 범죄 단지를 대대적으로 수색할 것과 한국인을 발견하면 즉각 구조할 것을 이미 지시했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에 추방된 한국인들이 다시 캄보디아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추방대상자 명단, 즉 블랙리스트도 만들어질 예정인데요.
지난달 현지 범죄단체의 고문 끝에 숨진 한국인 대학생에 대한 시신 부검은 모레(20일) 양국 공동으로 이뤄질 계획입니다.
이후엔 빠른 시일 안에 화장해 유해를 송환하기로 합의도 이뤄졌습니다.
[앵커]
국내에선 불법 구인 광고 등을 차단하는 조치도 이뤄진다고요?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캄보디아뿐 아니라 동남아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불법 구인 광고를 긴급히 삭제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캄보디아에 대한 단속이 강화된 뒤, 다른 동남아 국가에서도 비슷한 피해를 막기 위해 이 같은 조치를 확대하라는 겁니다.
지시를 받은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경찰청 등은 불법 취업 사기 광고가 노출되는 사이트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포털 사업자 등에게 전달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관계 기관이 포함된 합동 대응 TF를 긴급히 구성하고, 네이버, 카카오, 구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도 구성해 본격적인 자율 심의 체제도 가동한단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용산 대통령실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홍민기 (hongmg122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우리 정부는 캄보디아 내 구금됐던 한국인 송환 뒤 후속 대책도 발표했습니다.
양국 합동 TF를 구성해 수사 정보를 공유하고, 국내에 확산하는 불법 구인 광고도 차단하기로 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홍민기 기자!
한국인들이 일단 송환됐는데, 이후 정부 대책도 설명해 주시죠.
[기자]
캄보디아에 파견됐던 정부 합동대응팀은 우선, 양국 공동의 TF를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취업 사기 등 이른바 '스캠 범죄'에 대해 양국 경찰이 정보와 증거를 공유하고, 범죄 연루자를 조기에 송환하기 위해 협력한다는 계획입니다.
캄보디아 정부는 한국인 관련 신고가 현지 경찰에 접수될 경우, 관련 정보를 우리 정부에 공유해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또, 전국 관서에 범죄 단지를 대대적으로 수색할 것과 한국인을 발견하면 즉각 구조할 것을 이미 지시했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에 추방된 한국인들이 다시 캄보디아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추방대상자 명단, 즉 블랙리스트도 만들어질 예정인데요.
지난달 현지 범죄단체의 고문 끝에 숨진 한국인 대학생에 대한 시신 부검은 모레(20일) 양국 공동으로 이뤄질 계획입니다.
이후엔 빠른 시일 안에 화장해 유해를 송환하기로 합의도 이뤄졌습니다.
[앵커]
국내에선 불법 구인 광고 등을 차단하는 조치도 이뤄진다고요?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캄보디아뿐 아니라 동남아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불법 구인 광고를 긴급히 삭제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캄보디아에 대한 단속이 강화된 뒤, 다른 동남아 국가에서도 비슷한 피해를 막기 위해 이 같은 조치를 확대하라는 겁니다.
지시를 받은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경찰청 등은 불법 취업 사기 광고가 노출되는 사이트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포털 사업자 등에게 전달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관계 기관이 포함된 합동 대응 TF를 긴급히 구성하고, 네이버, 카카오, 구글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도 구성해 본격적인 자율 심의 체제도 가동한단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용산 대통령실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홍민기 (hongmg122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