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오늘 저녁 캄보디아로 합동대응팀 파견
외교부·경찰청·법무부·국가정보원 등 참여
캄보디아 당국과 면담…수사협조·공동조사 논의
캄보디아에 국민 63명 구금…국내 송환 방침
외교부·경찰청·법무부·국가정보원 등 참여
캄보디아 당국과 면담…수사협조·공동조사 논의
캄보디아에 국민 63명 구금…국내 송환 방침
AD
[앵커]
한국인 납치와 감금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캄보디아 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 합동 대응팀이 오늘 현지에 급파됩니다.
캄보디아 정부에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는 동시에 공동 조사와 한국인 송환 절차에 대한 협의도 진행할 예정인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살펴보겠습니다. 홍선기 기자!
합동대응팀은 언제 출국할 예정인가요?
[기자]
네, 정부 합동 대응팀은 오늘 저녁 캄보디아 프놈펜으로 출국합니다.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을 단장으로 한 정부 합동 대응팀에는 경찰청과 법무부, 국가정보원 등도 참여했는데요.
대응팀은 현지에서 캄보디아 당국과 고위급 면담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 8월 발생한 한국인 대학생 고문 사망사건에 대한 수사협조를 촉구하고 공동 조사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현지 당국의 단속으로 구금된 한국인 송환 계획도 협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캄보디아에는 불법혐의로 체포된 국민 63명이 구금돼 있는데, 일단 체포 영장이 발부된 사람부터 국내로 데려올 계획입니다.
이들은 현지 온라인 스캠에 자발적으로 가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는 이들을 데려오기 위해 전세기 투입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지만,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현지에 남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져 신속한 송환이 이뤄질지는 불투명합니다.
외교부는 현재 캄보디아에 갔다가 안전이 확인되지 않는 한국인은 지난 8월 현재 8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들 가운데에는 감금과 납치 피해자와 함께 온라인 사기꾼, 즉 스캐머로서 의도적으로 연락을 끊은 경우가 섞여 있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정부는 합동 대응팀 파견과 별개로 박일 전 주레바논대사를 캄보디아에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재 공석인 캄보디아 대사를 당장 새로 임명하기는 어려운 만큼, 박 전 대사를 현지로 파견해 상황을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수도 프놈펜을 비롯해 시아누크빌과 보코산 지역 등 이미 특별여행주의보가 내려진 캄보디아 내 위험 지역의 여행 경보를 더 높은 수위로 격상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금까지 YTN 홍선기 입니다.
YTN 홍선기 (sunki05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한국인 납치와 감금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캄보디아 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 합동 대응팀이 오늘 현지에 급파됩니다.
캄보디아 정부에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는 동시에 공동 조사와 한국인 송환 절차에 대한 협의도 진행할 예정인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살펴보겠습니다. 홍선기 기자!
합동대응팀은 언제 출국할 예정인가요?
[기자]
네, 정부 합동 대응팀은 오늘 저녁 캄보디아 프놈펜으로 출국합니다.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을 단장으로 한 정부 합동 대응팀에는 경찰청과 법무부, 국가정보원 등도 참여했는데요.
대응팀은 현지에서 캄보디아 당국과 고위급 면담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 8월 발생한 한국인 대학생 고문 사망사건에 대한 수사협조를 촉구하고 공동 조사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현지 당국의 단속으로 구금된 한국인 송환 계획도 협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캄보디아에는 불법혐의로 체포된 국민 63명이 구금돼 있는데, 일단 체포 영장이 발부된 사람부터 국내로 데려올 계획입니다.
이들은 현지 온라인 스캠에 자발적으로 가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는 이들을 데려오기 위해 전세기 투입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지만,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현지에 남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져 신속한 송환이 이뤄질지는 불투명합니다.
외교부는 현재 캄보디아에 갔다가 안전이 확인되지 않는 한국인은 지난 8월 현재 8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들 가운데에는 감금과 납치 피해자와 함께 온라인 사기꾼, 즉 스캐머로서 의도적으로 연락을 끊은 경우가 섞여 있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정부는 합동 대응팀 파견과 별개로 박일 전 주레바논대사를 캄보디아에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재 공석인 캄보디아 대사를 당장 새로 임명하기는 어려운 만큼, 박 전 대사를 현지로 파견해 상황을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수도 프놈펜을 비롯해 시아누크빌과 보코산 지역 등 이미 특별여행주의보가 내려진 캄보디아 내 위험 지역의 여행 경보를 더 높은 수위로 격상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금까지 YTN 홍선기 입니다.
YTN 홍선기 (sunki05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