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보기

ⓒ연합뉴스
AD
대통령실이 역대 정부 최초로 주요 국정운영경비에 대한 집행정보를 공개한 가운데, 지난 3개월간 약 200차례 이용한 카페가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23일 대통령실은 홈페이지를 통해 특수활동비, 업무추진비, 특정업무경비 등 국정운영경비 집행 정보를 공개하고 "국민의 귀중한 세금을 올바르게 집행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기 위해 집행정보 공개를 결정하게 됐다"며 공개 배경을 밝혔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정부 출범 이후 올해 6월부터 8월까지 특수활동비로 총 4억 6,422만 6,000원이 집행됐다. 같은 기간 업무추진비는 9억 7,838만 1,421원, 특정업무경비는 1,914만 1,980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무추진비와 특정업무경비 내역에는 대통령실 용산 청사 지하에 위치한 카페 '아이갓에브리씽' 용산점이 반복적으로 등장했다. 대통령실은 석 달 동안 해당 카페를 업무추진비로 199차례, 특정업무경비로 11차례 이용했다.
2023년 3월 처음 문을 연 이 카페는 중증장애인 직원 채용 카페로, 한국장애인개발원이 중증장애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 중 하나다. 한국지체장애인협회가 운영 주체로 선정돼 발달장애인 3명을 포함한 장애인 5명이 근무 중이다.
주요 이용 내역은 회의나 면담에 필요한 다과 구매 등으로, 사용 금액은 1만 원대 소액(7월 4일 대통령 일정 관련 협의 1 만원)부터 외부 관계자 응대용으로 집행된 40만 원대(7월 3일 다과 구입 41만 3,400원)까지 다양했다.
이외에도 공개된 업무추진비 내역에는 치킨집이나 도넛 가게 등도 들어가 있었으며, 지난달 17일 이재명 대통령이 시민들과 함께 관람한 영화 '독립군:끝나지 않은 전쟁' 단체 관람 비용으로 티켓 79만 9,000원이 지출된 사실도 확인됐다.
대통령실은 "역대 정부 최초의 집행 정보 공개가 국민의 알 권리를 확대하고 국정 참여를 촉진하며, 국가 행정의 투명성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국가 예산을 꼭 필요한 곳에 책임있게 집행하고, 관련 정보를 정기적으로 공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다만, 국가안전보장 등 고도의 기밀을 다루는 대통령실 업무 특수성을 고려해 일부 사항은 비공개하기로 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3일 대통령실은 홈페이지를 통해 특수활동비, 업무추진비, 특정업무경비 등 국정운영경비 집행 정보를 공개하고 "국민의 귀중한 세금을 올바르게 집행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기 위해 집행정보 공개를 결정하게 됐다"며 공개 배경을 밝혔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정부 출범 이후 올해 6월부터 8월까지 특수활동비로 총 4억 6,422만 6,000원이 집행됐다. 같은 기간 업무추진비는 9억 7,838만 1,421원, 특정업무경비는 1,914만 1,980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무추진비와 특정업무경비 내역에는 대통령실 용산 청사 지하에 위치한 카페 '아이갓에브리씽' 용산점이 반복적으로 등장했다. 대통령실은 석 달 동안 해당 카페를 업무추진비로 199차례, 특정업무경비로 11차례 이용했다.
2023년 3월 처음 문을 연 이 카페는 중증장애인 직원 채용 카페로, 한국장애인개발원이 중증장애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 중 하나다. 한국지체장애인협회가 운영 주체로 선정돼 발달장애인 3명을 포함한 장애인 5명이 근무 중이다.
주요 이용 내역은 회의나 면담에 필요한 다과 구매 등으로, 사용 금액은 1만 원대 소액(7월 4일 대통령 일정 관련 협의 1 만원)부터 외부 관계자 응대용으로 집행된 40만 원대(7월 3일 다과 구입 41만 3,400원)까지 다양했다.
이외에도 공개된 업무추진비 내역에는 치킨집이나 도넛 가게 등도 들어가 있었으며, 지난달 17일 이재명 대통령이 시민들과 함께 관람한 영화 '독립군:끝나지 않은 전쟁' 단체 관람 비용으로 티켓 79만 9,000원이 지출된 사실도 확인됐다.
대통령실은 "역대 정부 최초의 집행 정보 공개가 국민의 알 권리를 확대하고 국정 참여를 촉진하며, 국가 행정의 투명성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국가 예산을 꼭 필요한 곳에 책임있게 집행하고, 관련 정보를 정기적으로 공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다만, 국가안전보장 등 고도의 기밀을 다루는 대통령실 업무 특수성을 고려해 일부 사항은 비공개하기로 했다.
YTN digital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