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이재명 대통령은 9·19 평양공동선언·남북 군사합의 7주년을 맞아 합의 정신의 복원과 대화·협력을 통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해 대통령으로서 정부가 할 일을 국민과 차근차근히 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오늘(19일) 페이스북 글에서 "평화는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의 토대"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8·15 경축사를 통해 밝힌 북한 체제 존중과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이 없다는 약속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7년 전 남북은 평화와 공동번영을 약속하고 군사합의를 채택해 한반도에 모처럼 평화의 기운이 감돌았지만 안타깝게도 최근 몇 년 대립이 크게 고조됐다"면서 군사합의 무력화.
남북 신뢰 훼손, 대화 중단 상황을 지적했습니다.
이어 "평화가 깨지면 민주주의를 유지·발전시키는 것도,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 것도 위협받는다"며 취임 직후부터 대북 방송 및 전단 살포를 중단한 까닭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신뢰는 말이 아닌 행동과 실천에서 나오기 때문에 "한 번 깨진 신뢰는 금세 회복되지 않는다"며 "엉킨 실타래를 풀듯 인내심을 갖고 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다시는 접경지역 주민들이 밤잠을 설치는 일이 없도록, 우리 경제가 군사적 대결로 인한 리스크를 떠안는 일이 없도록, 분단을 악용한 세력으로부터 민주주의가 위협받는 일이 없도록 만들겠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김희준 (hijun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 대통령은 오늘(19일) 페이스북 글에서 "평화는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의 토대"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8·15 경축사를 통해 밝힌 북한 체제 존중과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이 없다는 약속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7년 전 남북은 평화와 공동번영을 약속하고 군사합의를 채택해 한반도에 모처럼 평화의 기운이 감돌았지만 안타깝게도 최근 몇 년 대립이 크게 고조됐다"면서 군사합의 무력화.
남북 신뢰 훼손, 대화 중단 상황을 지적했습니다.
이어 "평화가 깨지면 민주주의를 유지·발전시키는 것도, 민생과 경제를 살리는 것도 위협받는다"며 취임 직후부터 대북 방송 및 전단 살포를 중단한 까닭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신뢰는 말이 아닌 행동과 실천에서 나오기 때문에 "한 번 깨진 신뢰는 금세 회복되지 않는다"며 "엉킨 실타래를 풀듯 인내심을 갖고 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다시는 접경지역 주민들이 밤잠을 설치는 일이 없도록, 우리 경제가 군사적 대결로 인한 리스크를 떠안는 일이 없도록, 분단을 악용한 세력으로부터 민주주의가 위협받는 일이 없도록 만들겠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김희준 (hijun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