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외교부는 우리 국민 구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한 조현 장관이 미 연방 상원의원들을 잇달아 만나 재발방지를 위한 비자 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조 장관은 우리 기업이 대미 투자를 실현하려면 직원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아야 한다며 의회 차원의 지원을 당부했고, 특히 한국계 앤디 김 상원의원이 조속한 사태 해결을 위해 힘써줬다며 사의를 표명했습니다.
김 의원은 백악관을 접촉해 미국의 비자 제도가 한국의 막대한 투자를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고, 자발적 출국 조치가 신속하게 이뤄지도록 미 행정부에 매일 촉구했다고 외교부는 전했습니다.
미 상원의원들은 이번 일이 한미 경제 협력과 대미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선 안 된다는 점에 공감하고, 입법 등 필요한 제도적 지원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YTN 나혜인 (nahi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조 장관은 우리 기업이 대미 투자를 실현하려면 직원들이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아야 한다며 의회 차원의 지원을 당부했고, 특히 한국계 앤디 김 상원의원이 조속한 사태 해결을 위해 힘써줬다며 사의를 표명했습니다.
김 의원은 백악관을 접촉해 미국의 비자 제도가 한국의 막대한 투자를 따라오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고, 자발적 출국 조치가 신속하게 이뤄지도록 미 행정부에 매일 촉구했다고 외교부는 전했습니다.
미 상원의원들은 이번 일이 한미 경제 협력과 대미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선 안 된다는 점에 공감하고, 입법 등 필요한 제도적 지원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YTN 나혜인 (nahi8@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