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증인·참고인 또 ’0명’…맹탕 비판에 ’네 탓 공방’
박원순 사건 당시 쓰인 ’피해 호소인’ 놓고 격돌
"위원인데 침묵" vs "관계 사건 입장표명 어려워"
증인·참고인 또 ’0명’…맹탕 비판에 ’네 탓 공방’
박원순 사건 당시 쓰인 ’피해 호소인’ 놓고 격돌
"위원인데 침묵" vs "관계 사건 입장표명 어려워"
AD
[앵커]
낙마한 강선우 의원에 이어 지명된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열렸습니다.
증인 없이 열린 청문회에서 여야는 '피해 호소인' 용어 논란으로 신경전을 벌였습니다.
윤웅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는 증인과 참고인 한 명 없이 열렸습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정부 들어 검증 기능을 상실한 '맹탕 청문회'가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반면 민주당은 대체 윤미향 전 의원을 왜 불러야 하느냐며, 증인 채택 무산을 야당 탓으로 돌렸습니다.
[조은희 / 국민의힘 여성가족위원회 간사 : 관행처럼 굳어지는 모양새입니다. 22명 청문회에서 여야 합의로 채택된 증인·참고인은 15명에 불과합니다.]
[채현일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증인과 참고인도 부르면 그 목적에 부합해야 합니다. 윤미향 전 의원은 후보자 검증과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고 박원순 서울시장 성폭력 사건에서 사용된 이른바 '피해 호소인' 용어를 놓고 여야는 수차례 격돌했습니다.
국민의힘은 용어가 2차 가해라고 지적했고, 원 후보자는 부적절하다는 취지로 대답했습니다.
[한지아 / 국민의힘 의원 : 피해자라고 부르지 않는 것 자체가 사실은 명백한 2차 가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원민경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 피해자를 다른 용어로 호칭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야당은 나아가, 원 후보자가 '박원순 미투' 당시 민주당 윤리심판위원이었던 점을 거론하면서 왜 침묵했느냐고 비판했고,
민주당은 당시 자리 때문에 관계 사건에 입장표명을 하기 어려웠을 거라고 두둔했습니다.
[임미애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위원이라는 것 때문에 오히려 본인의 자유로운 의사 표현이 더 어렵지 않았겠냐는 생각이 드는데…]
원 후보자는 인권위원 시절, 채 상병 순직 사건으로 외압을 겪은 박정훈 대령의 긴급 구제를 기각한 것에 대해 당사자와 유족에게 죄송하다고 사과했습니다.
폐지 직전까지 갔던 여성가족부 조직에 대해 원 후보자는 '성평등 가족부'로 확대·개편하는 이재명 대통령 공약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윤웅성입니다.
촬영기자 : 이성모 온승원
영상편집 : 오훤슬기
YTN 윤웅성 (yws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낙마한 강선우 의원에 이어 지명된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열렸습니다.
증인 없이 열린 청문회에서 여야는 '피해 호소인' 용어 논란으로 신경전을 벌였습니다.
윤웅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는 증인과 참고인 한 명 없이 열렸습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정부 들어 검증 기능을 상실한 '맹탕 청문회'가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반면 민주당은 대체 윤미향 전 의원을 왜 불러야 하느냐며, 증인 채택 무산을 야당 탓으로 돌렸습니다.
[조은희 / 국민의힘 여성가족위원회 간사 : 관행처럼 굳어지는 모양새입니다. 22명 청문회에서 여야 합의로 채택된 증인·참고인은 15명에 불과합니다.]
[채현일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증인과 참고인도 부르면 그 목적에 부합해야 합니다. 윤미향 전 의원은 후보자 검증과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고 박원순 서울시장 성폭력 사건에서 사용된 이른바 '피해 호소인' 용어를 놓고 여야는 수차례 격돌했습니다.
국민의힘은 용어가 2차 가해라고 지적했고, 원 후보자는 부적절하다는 취지로 대답했습니다.
[한지아 / 국민의힘 의원 : 피해자라고 부르지 않는 것 자체가 사실은 명백한 2차 가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원민경 /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 피해자를 다른 용어로 호칭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야당은 나아가, 원 후보자가 '박원순 미투' 당시 민주당 윤리심판위원이었던 점을 거론하면서 왜 침묵했느냐고 비판했고,
민주당은 당시 자리 때문에 관계 사건에 입장표명을 하기 어려웠을 거라고 두둔했습니다.
[임미애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위원이라는 것 때문에 오히려 본인의 자유로운 의사 표현이 더 어렵지 않았겠냐는 생각이 드는데…]
원 후보자는 인권위원 시절, 채 상병 순직 사건으로 외압을 겪은 박정훈 대령의 긴급 구제를 기각한 것에 대해 당사자와 유족에게 죄송하다고 사과했습니다.
폐지 직전까지 갔던 여성가족부 조직에 대해 원 후보자는 '성평등 가족부'로 확대·개편하는 이재명 대통령 공약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YTN 윤웅성입니다.
촬영기자 : 이성모 온승원
영상편집 : 오훤슬기
YTN 윤웅성 (yws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