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기념식 참석을 계기로 북중러 3국 정상회담이 열릴지 관심입니다.
다만, 북중러 공조에 대한 3국의 온도 차이가 뚜렷해서 회담 성사 여부는 불투명해 보입니다.
홍선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중국의 전승 80주년 기념식은 북한과 중국, 러시아 정상이 한 자리에 모인다는 것만으로도 전 세계의 관심을 사고 있습니다.
[마크 스튜어트 / CNN 특파원 : (김정은과 푸틴이 참석하는) 중국의 전승절 열병식은 군사력과 정치 강국으로 영향력을 과시할 기회입니다.]
이제 관심은 북중러 정상이 한 자리에 모인 김에 탈냉전 이후 처음으로 3국 정상회담이 열릴지에 쏠립니다.
그러나 북중러 정상회담에 대한 3국의 온도 차가 뚜렷해서 실제 성사 여부는 미지수입니다.
일단 3국 정상회담에 가장 적극적일 사람은 김정은 위원장으로 보입니다.
미국과 패권 경쟁을 벌이는 두 나라의 정상과 나란히 서는 모습만으로도 대내외적으로 상징적인 효과가 크기 때문입니다.
[임을출 /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 (북한은) 이번 전승절 행사가 중국 러시아와 함께 반서방 다극화 질서 구축에 동참하는 명분을 확보할 수 있는 그런 장점이 있습니다.]
푸틴 대통령 입장에서는 김정은 위원장만큼 적극적이지는 않아도 중국을 한편으로 끌어들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서 북한 말고는 이렇다 할 우군이 없던 러시아에 중국이 힘을 실어주는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시진핑 주석은 바로 이런 점 때문에 북중러 밀착에 거리를 두고 싶어 합니다.
[박원곤/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YTN 출연)]
"중국은 협력을 하기는 합니다마는 북중러로 같이 묶이는 것에 대해서는, 그것을 일종의 신냉전 구도로 되는 것은 결연히 반대한다는 그 입장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데 아마도 그 입장이 크게 바뀔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손님을 초청한 입장인 시진핑 주석이 북한과 러시아에 대한 배려와 한미일 공조에 대한 경고 차원에서 전격적으로 북중러 회담에 응할 가능성도 배제하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YTN 홍선기 입니다.
영상편집 서영미
YTN 홍선기 (sunki05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기념식 참석을 계기로 북중러 3국 정상회담이 열릴지 관심입니다.
다만, 북중러 공조에 대한 3국의 온도 차이가 뚜렷해서 회담 성사 여부는 불투명해 보입니다.
홍선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중국의 전승 80주년 기념식은 북한과 중국, 러시아 정상이 한 자리에 모인다는 것만으로도 전 세계의 관심을 사고 있습니다.
[마크 스튜어트 / CNN 특파원 : (김정은과 푸틴이 참석하는) 중국의 전승절 열병식은 군사력과 정치 강국으로 영향력을 과시할 기회입니다.]
이제 관심은 북중러 정상이 한 자리에 모인 김에 탈냉전 이후 처음으로 3국 정상회담이 열릴지에 쏠립니다.
그러나 북중러 정상회담에 대한 3국의 온도 차가 뚜렷해서 실제 성사 여부는 미지수입니다.
일단 3국 정상회담에 가장 적극적일 사람은 김정은 위원장으로 보입니다.
미국과 패권 경쟁을 벌이는 두 나라의 정상과 나란히 서는 모습만으로도 대내외적으로 상징적인 효과가 크기 때문입니다.
[임을출 /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 (북한은) 이번 전승절 행사가 중국 러시아와 함께 반서방 다극화 질서 구축에 동참하는 명분을 확보할 수 있는 그런 장점이 있습니다.]
푸틴 대통령 입장에서는 김정은 위원장만큼 적극적이지는 않아도 중국을 한편으로 끌어들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서 북한 말고는 이렇다 할 우군이 없던 러시아에 중국이 힘을 실어주는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시진핑 주석은 바로 이런 점 때문에 북중러 밀착에 거리를 두고 싶어 합니다.
[박원곤/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YTN 출연)]
"중국은 협력을 하기는 합니다마는 북중러로 같이 묶이는 것에 대해서는, 그것을 일종의 신냉전 구도로 되는 것은 결연히 반대한다는 그 입장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데 아마도 그 입장이 크게 바뀔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손님을 초청한 입장인 시진핑 주석이 북한과 러시아에 대한 배려와 한미일 공조에 대한 경고 차원에서 전격적으로 북중러 회담에 응할 가능성도 배제하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YTN 홍선기 입니다.
영상편집 서영미
YTN 홍선기 (sunki05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