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순방 직전까지도 주변에 긴장감 토로
트럼프 대통령과 협상·국익 수호에 부담감
’첫 단추’ 한일 정상회담은 비교적 순조롭게 풀려
’북미 대화 물꼬’, 이번 순방 최대 성과로 꼽혀
트럼프 대통령과 협상·국익 수호에 부담감
’첫 단추’ 한일 정상회담은 비교적 순조롭게 풀려
’북미 대화 물꼬’, 이번 순방 최대 성과로 꼽혀
AD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3박 6일간 이어진 한일·한미 정상회담을 마치고 돌아왔습니다.
한미일 동맹 재확인, 한미 조선 협력 본격화라는 성과를 거뒀지만, 한계도 있었는데요.
이번 순방의 주요 장면들을 홍민기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떠나기 직전까지도 주변 참모들에게 긴장감을 감추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를 상대로 산적한 난제를 풀고, 국익을 지켜야 하는 부담이 컸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재명 / 대통령(지난 21일): 참으로 어려운 환경이기는 하지만, 국민을 믿고 국가 이익을 최우선에 두고….]
다행히 첫 단추였던 일본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의 정상회담이 비교적 순조롭게 풀렸습니다.
'미래지향적 한일관계'에 두 정상 모두 공감했고, 저출산·고령화 등 공통의 사회문제에도 함께 대응하기로 하며 두 나라는 17년 만에 공동언론 발표문을 내놨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 일본 총리: 양국 관계, 그리고 일본·한국·미국 3국 공조의 중요성은 더해지고 있습니다.]
동병상련, 이시바 총리의 조언까지 더해져 한미 정상회담으로 향하는 이 대통령의 발걸음은 한층 가벼워졌습니다.
[이재명 / 대통령: 이시바 총리는 매우 우호적으로 우리 대한민국과 미국과 협상에 대해 많은 조언을 해줬습니다.]
그러나 첫 대면을 불과 두어 시간 남겨두고 대형 변수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가 한국 특검의 교회와 미군 기지 압수수색 등을 비판하며 '숙청, 혁명' 등을 SNS에 언급한 겁니다.
하지만 침착한 대응으로 일단 오해를 풀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오해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교회 압수수색에 관한 소문이 있었는데 오해라고 확신합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만남까지 주선하며 북미 대화의 물꼬를 튼 것은 이번 순방의 가장 큰 성과로 평가됩니다.
[이재명 / 대통령: 대통령께서 '피스 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 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습니다.]
한미 동맹 현대화에 대한 의견 일치와 본격적으로 닻을 올린 '마스가 프로젝트'도 중요한 결실입니다.
다만, 한일 관계에선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의 확실한 태도 변화를 끌어내지 못했다는 점,
한미 정상회담에서도 방위비 분담금과 총 3,500억 달러의 세부 투자 계획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빠져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점은 이번 순방의 한계로 꼽힙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끊임없는 요구는 이미 국제 사회의 '새로운 질서'가 된 만큼, 국익 중심의 실용 외교라는 기조를 지켜내는 것 또한 이 대통령의 숙제로 남을 전망입니다.
YTN 홍민기입니다.
YTN 홍민기 (hongmg122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3박 6일간 이어진 한일·한미 정상회담을 마치고 돌아왔습니다.
한미일 동맹 재확인, 한미 조선 협력 본격화라는 성과를 거뒀지만, 한계도 있었는데요.
이번 순방의 주요 장면들을 홍민기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떠나기 직전까지도 주변 참모들에게 긴장감을 감추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를 상대로 산적한 난제를 풀고, 국익을 지켜야 하는 부담이 컸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재명 / 대통령(지난 21일): 참으로 어려운 환경이기는 하지만, 국민을 믿고 국가 이익을 최우선에 두고….]
다행히 첫 단추였던 일본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의 정상회담이 비교적 순조롭게 풀렸습니다.
'미래지향적 한일관계'에 두 정상 모두 공감했고, 저출산·고령화 등 공통의 사회문제에도 함께 대응하기로 하며 두 나라는 17년 만에 공동언론 발표문을 내놨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 일본 총리: 양국 관계, 그리고 일본·한국·미국 3국 공조의 중요성은 더해지고 있습니다.]
동병상련, 이시바 총리의 조언까지 더해져 한미 정상회담으로 향하는 이 대통령의 발걸음은 한층 가벼워졌습니다.
[이재명 / 대통령: 이시바 총리는 매우 우호적으로 우리 대한민국과 미국과 협상에 대해 많은 조언을 해줬습니다.]
그러나 첫 대면을 불과 두어 시간 남겨두고 대형 변수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가 한국 특검의 교회와 미군 기지 압수수색 등을 비판하며 '숙청, 혁명' 등을 SNS에 언급한 겁니다.
하지만 침착한 대응으로 일단 오해를 풀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오해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교회 압수수색에 관한 소문이 있었는데 오해라고 확신합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만남까지 주선하며 북미 대화의 물꼬를 튼 것은 이번 순방의 가장 큰 성과로 평가됩니다.
[이재명 / 대통령: 대통령께서 '피스 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 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습니다.]
한미 동맹 현대화에 대한 의견 일치와 본격적으로 닻을 올린 '마스가 프로젝트'도 중요한 결실입니다.
다만, 한일 관계에선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의 확실한 태도 변화를 끌어내지 못했다는 점,
한미 정상회담에서도 방위비 분담금과 총 3,500억 달러의 세부 투자 계획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빠져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점은 이번 순방의 한계로 꼽힙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끊임없는 요구는 이미 국제 사회의 '새로운 질서'가 된 만큼, 국익 중심의 실용 외교라는 기조를 지켜내는 것 또한 이 대통령의 숙제로 남을 전망입니다.
YTN 홍민기입니다.
YTN 홍민기 (hongmg122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