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올해 북한인권보고서를 발간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해온 통일부가 관련 자료를 생산은 하되 일반에 공개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오늘 취재진과 만나, 비난 위주의 공세적·개별적 북한 인권 정책이 북한 주민의 실질적 인권개선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했다고 본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인권 실태조사를 계속하고 있고 어떤 형태로든 내부 자료로 만드는 건 당연하다며 해당 자료는 법무부로 이관돼 보관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 2018년부터 비공개로 제작해 국회에 보고되던 북한인권보고서는 윤석열 정부 때인 2023년부터 공개 발간됐습니다.
앞서 통일부는 지난해 발간 이후 새롭게 수집된 탈북민들 진술이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 올해는 북한인권보고서를 발간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해왔습니다.
YTN 이종원 (jong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통일부 당국자는 오늘 취재진과 만나, 비난 위주의 공세적·개별적 북한 인권 정책이 북한 주민의 실질적 인권개선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했다고 본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인권 실태조사를 계속하고 있고 어떤 형태로든 내부 자료로 만드는 건 당연하다며 해당 자료는 법무부로 이관돼 보관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 2018년부터 비공개로 제작해 국회에 보고되던 북한인권보고서는 윤석열 정부 때인 2023년부터 공개 발간됐습니다.
앞서 통일부는 지난해 발간 이후 새롭게 수집된 탈북민들 진술이 많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 올해는 북한인권보고서를 발간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해왔습니다.
YTN 이종원 (jong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