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첫 광복절을 맞아, 대북·대일 메시지를 담은 경축사를 발표했습니다.
북한에는 대화의 손길을 재차 내밀었고, 일본을 상대론 과거사를 직시해야 한다면서도 미래 지향적 협력의 길을 모색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정인용 기자!
이 대통령이 우선 경축사에서 광복절 의미부터 부각했다고요?
[기자]
네, 이재명 대통령은 광복 80주년 첫 경축사에서, 먼저, 광복절은 단지 독립을 이룬 날이 아니라며 우리 삶을 스스로 선택할 자유와 권리를 찾은 날이라고 밝혔습니다.
대한민국은 지난 80년 동안 눈부신 성취를 이뤘다며 다시는 빼앗기지 않을 부강한 나라를 만들겠단 독립투사들과 애국선열들의 열정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자랑스런 항일 투쟁 역사를 기리고 독립유공자 명예를 지키는 건 우리 공동체의 과거와 오늘, 미래를 지키는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독립투쟁의 역사를 제대로 기록하고 국민과 함께 기억하겠다며 생존 애국지사에 각별한 예우를 다하고, 독립유공자 유족의 보상 범위도 더 넓히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앵커]
경축사에 담긴 이 대통령의 대일·대북 메시지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이 대통령은 한일관계를 두곤, 수교 60주년을 언급하며,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는 지혜를 발휘해야 할 때라고 운을 뗐습니다.
우리 곁에는 여전히 과거사 문제로 고통받는 분이 계시고 입장을 달리하는 갈등도 크게 존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일본은 경제 발전에 있어 떼놓고 생각할 수 없는 중요한 동반자라며 셔틀 외교를 통해 미래지향적 상생협력의 길을 모색하겠다고 의지를 나타냈습니다.
신뢰가 두터울수록 협력의 질도 높아진다며 일본 정부가 과거사를 직시하고 신뢰가 훼손되지 않도록 노력해줄 것을 기대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을 향해서는 거듭 대화 의지를 나타냈는데요,
우선 분단으로 지속 된 남북 대결은 경제발전을 제약하고 나라의 미래에 심각한 장애가 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 평화를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고, 지금 당장 신뢰 회복과 대화 복원부터 시작하는 게 순리라며 북측이 화답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현재 북측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거라며 9·19 군사합의를 선제적·단계적으로 복원해나가겠다고 천명했습니다.
또, 평화로운 한반도는 핵 없는 한반도라며 남북·미북 대화와 국제사회의 협력을 통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 나가겠다고 언급했습니다.
[앵커]
이 대통령이 경축사를 통해 지난 정부에 대해선 강도 높게 비판하기도 했다고요.
[기자]
네 이 대통령은 우리 역사는 빛의 혁명에 이르는 지난한 과정이었고, 빼앗긴 빛을 되찾고 빛을 지키기 위한 투쟁의 연속이었다고 규정했습니다.
3·1 혁명부터, 4.19 혁명과 5.18 민주화운동, 6.10 민주항쟁에 이어, 세계사에 없는 두 번의 무혈 평화혁명으로 국민주권이 살아있음을 만 천하에 선언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 박근혜 전 대통령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과정을 추켜세운 겁니다.
독재와 내란으로부터 지켜낸 빛이 다시는 꺼지지 않도록 우리 모두 함께 지켜내자며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정면으로 비판했습니다.
특히 민주주의를 억압하고 국민주권을 제약한 것도 모자라 전쟁 속으로 국민을 몰아넣으려는 무도한 시도마저 서슴지 않았다며, 윤 전 대통령의 외환 의혹도 정조준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정치권을 향해선, 낡은 이념과 진영에 기초한 분열의 정치에서 탈피해, 대화와 양보에 기초한 연대와 상생의 정치를 함께 만들어가자고 촉구했습니다.
지금까지 용산 대통령실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정인용 (quotejeo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첫 광복절을 맞아, 대북·대일 메시지를 담은 경축사를 발표했습니다.
북한에는 대화의 손길을 재차 내밀었고, 일본을 상대론 과거사를 직시해야 한다면서도 미래 지향적 협력의 길을 모색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정인용 기자!
이 대통령이 우선 경축사에서 광복절 의미부터 부각했다고요?
[기자]
네, 이재명 대통령은 광복 80주년 첫 경축사에서, 먼저, 광복절은 단지 독립을 이룬 날이 아니라며 우리 삶을 스스로 선택할 자유와 권리를 찾은 날이라고 밝혔습니다.
대한민국은 지난 80년 동안 눈부신 성취를 이뤘다며 다시는 빼앗기지 않을 부강한 나라를 만들겠단 독립투사들과 애국선열들의 열정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자랑스런 항일 투쟁 역사를 기리고 독립유공자 명예를 지키는 건 우리 공동체의 과거와 오늘, 미래를 지키는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독립투쟁의 역사를 제대로 기록하고 국민과 함께 기억하겠다며 생존 애국지사에 각별한 예우를 다하고, 독립유공자 유족의 보상 범위도 더 넓히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앵커]
경축사에 담긴 이 대통령의 대일·대북 메시지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이 대통령은 한일관계를 두곤, 수교 60주년을 언급하며,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는 지혜를 발휘해야 할 때라고 운을 뗐습니다.
우리 곁에는 여전히 과거사 문제로 고통받는 분이 계시고 입장을 달리하는 갈등도 크게 존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일본은 경제 발전에 있어 떼놓고 생각할 수 없는 중요한 동반자라며 셔틀 외교를 통해 미래지향적 상생협력의 길을 모색하겠다고 의지를 나타냈습니다.
신뢰가 두터울수록 협력의 질도 높아진다며 일본 정부가 과거사를 직시하고 신뢰가 훼손되지 않도록 노력해줄 것을 기대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을 향해서는 거듭 대화 의지를 나타냈는데요,
우선 분단으로 지속 된 남북 대결은 경제발전을 제약하고 나라의 미래에 심각한 장애가 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 평화를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하고, 지금 당장 신뢰 회복과 대화 복원부터 시작하는 게 순리라며 북측이 화답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현재 북측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거라며 9·19 군사합의를 선제적·단계적으로 복원해나가겠다고 천명했습니다.
또, 평화로운 한반도는 핵 없는 한반도라며 남북·미북 대화와 국제사회의 협력을 통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 나가겠다고 언급했습니다.
[앵커]
이 대통령이 경축사를 통해 지난 정부에 대해선 강도 높게 비판하기도 했다고요.
[기자]
네 이 대통령은 우리 역사는 빛의 혁명에 이르는 지난한 과정이었고, 빼앗긴 빛을 되찾고 빛을 지키기 위한 투쟁의 연속이었다고 규정했습니다.
3·1 혁명부터, 4.19 혁명과 5.18 민주화운동, 6.10 민주항쟁에 이어, 세계사에 없는 두 번의 무혈 평화혁명으로 국민주권이 살아있음을 만 천하에 선언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지난 박근혜 전 대통령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과정을 추켜세운 겁니다.
독재와 내란으로부터 지켜낸 빛이 다시는 꺼지지 않도록 우리 모두 함께 지켜내자며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정면으로 비판했습니다.
특히 민주주의를 억압하고 국민주권을 제약한 것도 모자라 전쟁 속으로 국민을 몰아넣으려는 무도한 시도마저 서슴지 않았다며, 윤 전 대통령의 외환 의혹도 정조준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정치권을 향해선, 낡은 이념과 진영에 기초한 분열의 정치에서 탈피해, 대화와 양보에 기초한 연대와 상생의 정치를 함께 만들어가자고 촉구했습니다.
지금까지 용산 대통령실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정인용 (quotejeo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