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대통령실 핵심 참모들이 참석한 가운데,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합니다.
오늘 회의에서는 기후·에너지 정책 추진 방향에 대한 논의가 있을 전망인데요,
이 대통령의 조금 전 회의 모두 발언 들어보겠습니다.
[이재명 / 대통령]
어제, 오늘 비가 많이 내렸습니다.
비가 내렸다고 하면 시간당 100mm는 가뿐하게 넘기는데 기후변화가 실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그런 기후위기가 일상이 된 것 같습니다.
예보에 따르면 다음 달 초까지도 계속 비가 많이 내릴 거라고 합니다.
조속한 복구, 추가적인 비 피해 예방에 총력을 기울여야 되겠습니다.
기후변화가 우리 일상에 점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극한적 폭우, 폭염, 또 극심한 가뭄, 그 빈도들도 계속 커지고 있습니다.
기후 문제는 이제 전 국민의 의제이기도 하고 또 당장 대처해야 될 핵심적인 국가 과제가 됐습니다.
재난 유형별로 종합적인 국가 대응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재구축해야 될 시점이 된 것 같습니다.
예방, 대응, 복구의 전 과정에 걸쳐서 단계별 매뉴얼 구축, 또 관련 인프라 정비, 예산 확충에 나서야겠습니다.
범부처 차원에서 필요한 논의를 서둘러 주기 바랍니다.
2차 내수 활성화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급변하는 통상 질서 속에서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려면 소비 회복, 내수시장 육성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한 마중물인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습니다.
7월 소비자 심리지수가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소비쿠폰 지급 이후에 소상공인 중 55.8%가 매출이 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소비 회복 움직임이 멈추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 범정부 차원에서 마련한 지방 살리기 상생 소비 활성화 대책에 보다 많은 국민께서 동참하실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오는 10월 긴 추석 연휴, 또 연말에 APEC 정상회의 등을 활용한 내수 활성화 방안도 선제적으로 강구해 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핵심 산업 가운데 하나인 석유화학이 상당히 큰 위기에 있는 것은 우리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글로벌 수요 부진, 또 중국발 공급 과잉이라는 구조적 요인이 작용하면서 주요 기업들이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신산업 중심의 성장 동력 창출을 서두르는 동시에 또 우리가 강점을 가졌던 이런 전통 산업도 포기해서는 안 됩니다.
전통 산업의 경쟁력 회복에도 우리가 신경을 써야겠습니다.
관계부처로 하여금 석유과학 사업 재편, 또 설비 조정, 기술 개발 등을 아우르는 종합대책을 신속하게 마련하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 기업들도 책임감을 가지고 동참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이상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대통령실 핵심 참모들이 참석한 가운데,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합니다.
오늘 회의에서는 기후·에너지 정책 추진 방향에 대한 논의가 있을 전망인데요,
이 대통령의 조금 전 회의 모두 발언 들어보겠습니다.
[이재명 / 대통령]
어제, 오늘 비가 많이 내렸습니다.
비가 내렸다고 하면 시간당 100mm는 가뿐하게 넘기는데 기후변화가 실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그런 기후위기가 일상이 된 것 같습니다.
예보에 따르면 다음 달 초까지도 계속 비가 많이 내릴 거라고 합니다.
조속한 복구, 추가적인 비 피해 예방에 총력을 기울여야 되겠습니다.
기후변화가 우리 일상에 점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극한적 폭우, 폭염, 또 극심한 가뭄, 그 빈도들도 계속 커지고 있습니다.
기후 문제는 이제 전 국민의 의제이기도 하고 또 당장 대처해야 될 핵심적인 국가 과제가 됐습니다.
재난 유형별로 종합적인 국가 대응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재구축해야 될 시점이 된 것 같습니다.
예방, 대응, 복구의 전 과정에 걸쳐서 단계별 매뉴얼 구축, 또 관련 인프라 정비, 예산 확충에 나서야겠습니다.
범부처 차원에서 필요한 논의를 서둘러 주기 바랍니다.
2차 내수 활성화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급변하는 통상 질서 속에서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려면 소비 회복, 내수시장 육성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한 마중물인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습니다.
7월 소비자 심리지수가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소비쿠폰 지급 이후에 소상공인 중 55.8%가 매출이 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소비 회복 움직임이 멈추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 범정부 차원에서 마련한 지방 살리기 상생 소비 활성화 대책에 보다 많은 국민께서 동참하실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오는 10월 긴 추석 연휴, 또 연말에 APEC 정상회의 등을 활용한 내수 활성화 방안도 선제적으로 강구해 주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핵심 산업 가운데 하나인 석유화학이 상당히 큰 위기에 있는 것은 우리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글로벌 수요 부진, 또 중국발 공급 과잉이라는 구조적 요인이 작용하면서 주요 기업들이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신산업 중심의 성장 동력 창출을 서두르는 동시에 또 우리가 강점을 가졌던 이런 전통 산업도 포기해서는 안 됩니다.
전통 산업의 경쟁력 회복에도 우리가 신경을 써야겠습니다.
관계부처로 하여금 석유과학 사업 재편, 또 설비 조정, 기술 개발 등을 아우르는 종합대책을 신속하게 마련하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 기업들도 책임감을 가지고 동참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이상입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