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오늘 취임 후 처음으로 17개 지도지사와 간담회를 했는데, 대통령실이 이와 관련한 브리핑을 합니다.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
[강유정 / 대통령실 대변인]
대통령은 오늘 취임한 지 59일 만에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균형발전은 지방에 대한 배려나 시혜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지속 성장과 발전을 위한 국가의 생존전략이라면서 소비쿠폰 지급을 통해 보여드린 것처럼 수도권보다 지방에 더 많이 지원해야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국가 정책이나 예산 배분 정책에서도 이런 원칙을 최대한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지방정부 역할이 현실적으로 매우 크다면서 더 노력해달라 당부했습니다.
시도지사협의회장을 맡고 있는 유정복 인천시장은 대통령께서 조속히 시도지사 간담회 자리를 마련해 주신 것에 감사드린다면서 국민주권 정부의 성공을 기원했습니다.
이어 중앙정부에 집중된 자치권과 인사권, 재정권을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지방분권형 개헌의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자연재난 대응 종합대책과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현황 및 사용 촉진 방안에 대해 보고했고 시도지사들의 자유토론이 이루어졌습니다.
시도지사들은 한목소리로 한미 관세협상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축하하며 감사의 뜻을 전했습니다.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감귤 등 1차 산업의 비중이 큰 제주도민들은 농업 부문에 대한 추가 개방 없이 협상이 타결된 것을 기적으로 여긴다 전했고 김영록 전남지사는 도청 앞에서 대규모 시위를 준비하던 농민단체들이 오히려 고맙다, 환영한다는 전화를 걸어왔다며 농업 시장을 지켜낸 협상 결과를 높게 평가했습니다.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첨단산업이 도내에 집중돼 관세협상이 초미의 관심사였는데 협상이 잘 타결돼 기쁘다 밝혔고 김두겸 울산광역시장은 자동차는 숨통이 트였고, 조선은 새로운 기회를 잡았다면서 울산시민들이 정말 기뻐하고 있다 전했습니다.
한편 이철우 경북지사는 전임 정부가 12.3 계엄 후 APEC 준비에 손을 놓는 바람에 경주에서 거의 살다시피 하고 있다면서 APEC 준비를 차질 없이 하겠다 다짐했습니다.
이어 경주 APEC을 계기로 대한민국이 초일류 국가임을 세계에 알려야 한다면서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잘 설득해 하노이 빅딜에 버금가는 경주 빅딜이 나오길 기원한다 전했습니다.
그밖에도 시도지사들은 소비쿠폰의 신청과 지급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다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을 전하였습니다.
또한 수해복구 작업의 어려움을 토로하면서 특별재난지역 추가 선포와 재정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시도지사들의 의견이 국정에 신속하게 반영될 수 있게 하겠다면서 지방행정을 하며 느낀 문제점들을 조금씩 개선하고 지방자치와 분권이 실질화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상입니다.
질문 있으실까요?
저기 뒤에 먼저 듣겠습니다.
[기자]
안녕하십니까?
데일리한국 박준영입니다.
유정복 시장이 이야기했던 지방분권형 개헌에 대해서 대통령님께서 어떤 반응을 보이셨는지 궁금합니다.
[강유정]
특별하게 반응을 보이진 않고요.
지방이 더 많은 자치권을 가지고 예산이라든가 여러 부분에서 더 자주적인 힘을 발휘해야 된다, 이 정도의 원론적인 이야기만 있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오늘 취임 후 처음으로 17개 지도지사와 간담회를 했는데, 대통령실이 이와 관련한 브리핑을 합니다.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
[강유정 / 대통령실 대변인]
대통령은 오늘 취임한 지 59일 만에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균형발전은 지방에 대한 배려나 시혜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지속 성장과 발전을 위한 국가의 생존전략이라면서 소비쿠폰 지급을 통해 보여드린 것처럼 수도권보다 지방에 더 많이 지원해야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국가 정책이나 예산 배분 정책에서도 이런 원칙을 최대한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지방정부 역할이 현실적으로 매우 크다면서 더 노력해달라 당부했습니다.
시도지사협의회장을 맡고 있는 유정복 인천시장은 대통령께서 조속히 시도지사 간담회 자리를 마련해 주신 것에 감사드린다면서 국민주권 정부의 성공을 기원했습니다.
이어 중앙정부에 집중된 자치권과 인사권, 재정권을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지방분권형 개헌의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자연재난 대응 종합대책과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현황 및 사용 촉진 방안에 대해 보고했고 시도지사들의 자유토론이 이루어졌습니다.
시도지사들은 한목소리로 한미 관세협상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축하하며 감사의 뜻을 전했습니다.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감귤 등 1차 산업의 비중이 큰 제주도민들은 농업 부문에 대한 추가 개방 없이 협상이 타결된 것을 기적으로 여긴다 전했고 김영록 전남지사는 도청 앞에서 대규모 시위를 준비하던 농민단체들이 오히려 고맙다, 환영한다는 전화를 걸어왔다며 농업 시장을 지켜낸 협상 결과를 높게 평가했습니다.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첨단산업이 도내에 집중돼 관세협상이 초미의 관심사였는데 협상이 잘 타결돼 기쁘다 밝혔고 김두겸 울산광역시장은 자동차는 숨통이 트였고, 조선은 새로운 기회를 잡았다면서 울산시민들이 정말 기뻐하고 있다 전했습니다.
한편 이철우 경북지사는 전임 정부가 12.3 계엄 후 APEC 준비에 손을 놓는 바람에 경주에서 거의 살다시피 하고 있다면서 APEC 준비를 차질 없이 하겠다 다짐했습니다.
이어 경주 APEC을 계기로 대한민국이 초일류 국가임을 세계에 알려야 한다면서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잘 설득해 하노이 빅딜에 버금가는 경주 빅딜이 나오길 기원한다 전했습니다.
그밖에도 시도지사들은 소비쿠폰의 신청과 지급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다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을 전하였습니다.
또한 수해복구 작업의 어려움을 토로하면서 특별재난지역 추가 선포와 재정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시도지사들의 의견이 국정에 신속하게 반영될 수 있게 하겠다면서 지방행정을 하며 느낀 문제점들을 조금씩 개선하고 지방자치와 분권이 실질화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상입니다.
질문 있으실까요?
저기 뒤에 먼저 듣겠습니다.
[기자]
안녕하십니까?
데일리한국 박준영입니다.
유정복 시장이 이야기했던 지방분권형 개헌에 대해서 대통령님께서 어떤 반응을 보이셨는지 궁금합니다.
[강유정]
특별하게 반응을 보이진 않고요.
지방이 더 많은 자치권을 가지고 예산이라든가 여러 부분에서 더 자주적인 힘을 발휘해야 된다, 이 정도의 원론적인 이야기만 있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