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대통령실은 대미 관세협상에서 상호관세만이 아니라 국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도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어제(31일) 브리핑에서, 미국이 예고한 상호관세 25%는 15%로 낮아지고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낮췄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추후 부과가 예고된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도 다른 나라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게 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농축산물 시장 개방에 대한 미국의 강한 요구가 있었지만, 식량 안보와 농업의 민감성을 고려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로 개방하지 않는 걸로 합의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실장은 조선협력 펀드 1천5백억 달러는 선박 건조와 유지·보수·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전반을 포괄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반도체와 원전, 이차전지와 바이오 등 대미 투자펀드도 2천억 달러 조성될 예정이라며 미국 진출에 관심 있는 우리 기업에 좋은 기회가 될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YTN 정인용 (quotejeo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어제(31일) 브리핑에서, 미국이 예고한 상호관세 25%는 15%로 낮아지고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도 15%로 낮췄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추후 부과가 예고된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도 다른 나라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게 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농축산물 시장 개방에 대한 미국의 강한 요구가 있었지만, 식량 안보와 농업의 민감성을 고려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로 개방하지 않는 걸로 합의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실장은 조선협력 펀드 1천5백억 달러는 선박 건조와 유지·보수·정비, 조선 기자재 등 조선업 전반을 포괄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반도체와 원전, 이차전지와 바이오 등 대미 투자펀드도 2천억 달러 조성될 예정이라며 미국 진출에 관심 있는 우리 기업에 좋은 기회가 될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YTN 정인용 (quotejeo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