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유화책에 "성의 있는 노력"…평가절하도
"대북방송 진작 중단했어야…동족 흉내 내기"
"새 정부도 한미동맹 맹신…선임자와 다를 것 없어"
"대북방송 진작 중단했어야…동족 흉내 내기"
"새 정부도 한미동맹 맹신…선임자와 다를 것 없어"
AD
[앵커]
북한이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담화를 통해, 새 정부의 대북 유화책을 평가절하하며 대화에 나설 뜻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재명 정부 들어 첫 대남 메시지인데요.
이 대통령은 남북 간의 신뢰 회복이 중요하다고 말했고, 정부도 평화 공존을 위한 정책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이종원 기자입니다.
[기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대남 메시지를 담은 담화를 발표했습니다.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다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게 공식입장이라고 말했습니다.
새 정부의 대북 유화책에 대해선 '성의 있는 노력'으로 언급하면서도 평가절하했습니다.
특히 대북방송 중단은 진작에 하지 말았어야 할 일을 가역적으로 되돌려 세운 것에 불과하고, 새 정부의 대북정책을 동족흉내라고 비꼬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새 정부 역시 한미동맹에 대한 맹신 등 선임자와 조금도 다를 바 없다며 한미연합연습 중단을 압박했습니다.
김 부부장의 담화는 이재명 정부 출범 50여 일 만에 나온 첫 대남 메시지로, 남북 관계 개선 의지를 강하게 피력한 정동영 신임 통일부 장관의 본격적인 업무 개시에 맞춰 발표됐습니다.
[양무진/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 북한이 적대적 두 국가 관계를 재확인하고 있지만 특히 이재명 정부에 대해서 나름대로 자극적인 비판을 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수위 조절의 의도가 담긴 것으로 분석합니다.]
이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평화적 분위기 속에서 남북한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고,
대통령실도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통일부 역시 일희일비 할 일이 아니라면서, 이런 평가도 동시에 내놓았습니다.
[구병삼/통일부 대변인 : 이번 담화는 북한당국이 이재명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합니다.]
대북 확성기·심리전 방송 중단 등 잇단 유화적 손짓에도 북한이 대화 가능성을 일축하고 나서면서, 새 정부에서도 당장은 남북 관계 개선이 쉽지만은 않을 전망입니다.
YTN 이종원입니다.
촬영기자: 고민철
영상편집: 양영운
디자인: 임샛별
YTN 이종원 (jong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북한이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담화를 통해, 새 정부의 대북 유화책을 평가절하하며 대화에 나설 뜻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재명 정부 들어 첫 대남 메시지인데요.
이 대통령은 남북 간의 신뢰 회복이 중요하다고 말했고, 정부도 평화 공존을 위한 정책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이종원 기자입니다.
[기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대남 메시지를 담은 담화를 발표했습니다.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다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게 공식입장이라고 말했습니다.
새 정부의 대북 유화책에 대해선 '성의 있는 노력'으로 언급하면서도 평가절하했습니다.
특히 대북방송 중단은 진작에 하지 말았어야 할 일을 가역적으로 되돌려 세운 것에 불과하고, 새 정부의 대북정책을 동족흉내라고 비꼬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새 정부 역시 한미동맹에 대한 맹신 등 선임자와 조금도 다를 바 없다며 한미연합연습 중단을 압박했습니다.
김 부부장의 담화는 이재명 정부 출범 50여 일 만에 나온 첫 대남 메시지로, 남북 관계 개선 의지를 강하게 피력한 정동영 신임 통일부 장관의 본격적인 업무 개시에 맞춰 발표됐습니다.
[양무진/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 북한이 적대적 두 국가 관계를 재확인하고 있지만 특히 이재명 정부에 대해서 나름대로 자극적인 비판을 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수위 조절의 의도가 담긴 것으로 분석합니다.]
이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평화적 분위기 속에서 남북한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고,
대통령실도 평화 정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통일부 역시 일희일비 할 일이 아니라면서, 이런 평가도 동시에 내놓았습니다.
[구병삼/통일부 대변인 : 이번 담화는 북한당국이 이재명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합니다.]
대북 확성기·심리전 방송 중단 등 잇단 유화적 손짓에도 북한이 대화 가능성을 일축하고 나서면서, 새 정부에서도 당장은 남북 관계 개선이 쉽지만은 않을 전망입니다.
YTN 이종원입니다.
촬영기자: 고민철
영상편집: 양영운
디자인: 임샛별
YTN 이종원 (jong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