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사퇴론에 휩싸인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거취가 이번 주말 사이에 판가름이 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른바 '청문회 슈퍼 위크'가 끝난 뒤에 이재명 대통령이 결론 낼 것으로 알려졌던 만큼,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강진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보좌관에 대한 갑질과 거짓 해명 논란으로 거센 비판에 직면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난 목요일 대통령실은, 대통령실 분위기가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 쪽으로 기울었단 일부 보도를, 이례적으로 강한 어조로 부인했습니다.
[강유정 / 대통령실 대변인 (지난 17일) : 대통령실의 인사 관련된 기류가 변화가 있다는 해석 기사가 나왔지만, 대통령실은 기류 변화가 없다고 지금 '공표'하는 바입니다.]
논문 표절 의혹과 자녀 불법 조기 유학 논란으로 뭇매를 맞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관한 생각도 같았습니다.
초대 내각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끝날 때까진, 주의 깊게 지켜보겠단 거였습니다.
대통령실 참모들이 공개적으로 언급하진 않았지만, 이재명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됐을 거란 해석이 나왔습니다.
[우상호 / 대통령실 정무수석 (지난 17일) : (청문회가 마무리된 뒤) 종합 보고한 이후에 대통령님께서 일정한 인사권자로서의 판단을 하실 것으로 예상합니다.]
대부분 청문회는 끝났고, 이 대통령 결단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주말 사이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이는 선택지는 크게 3가지입니다.
비판 여론에도 두 사람에 대한 임명을 강행할지, 아니면 지명 철회나 자진 사퇴 형식으로 '낙마'를 택할지를 이 대통령은 결정해야 합니다.
[김현정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지난 17일) : 임명할 거냐 안 할 거냐에 대한 판단의 영역은 최종적으로 대통령실에서 하는 것이고….]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오롯이 임명권자인 대통령의 몫이지만, 정치권에서는 최소 1명은 '읍참마속'의 대상이 될 거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여권에서조차 부정적 기류가 적지 않은 상황에서 임명을 밀어붙일 경우, 자칫 독단과 불통 이미지가 덧씌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각에선 대통령실이 강선우, 이진숙 후보자의 거취를 바로 정리하지 않은 건, 다른 후보자로 공격의 화살이 옮겨가는 걸 막기 위한 포석이었을 수 있단 분석까지 내놓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두 사람에게 문제가 전혀 없다고 본 게 아니라, 1기 내각의 낙마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이었을 수 있다는 얘기인데, 여론의 흐름에 민감한 이 대통령이 어떤 선택지를 고를지 주목됩니다.
YTN 강진원입니다.
영상기자;최영욱 김정원
영상편집;서영미
디자인;김진호
YTN 강진원 (jin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사퇴론에 휩싸인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거취가 이번 주말 사이에 판가름이 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른바 '청문회 슈퍼 위크'가 끝난 뒤에 이재명 대통령이 결론 낼 것으로 알려졌던 만큼,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강진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보좌관에 대한 갑질과 거짓 해명 논란으로 거센 비판에 직면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지난 목요일 대통령실은, 대통령실 분위기가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 쪽으로 기울었단 일부 보도를, 이례적으로 강한 어조로 부인했습니다.
[강유정 / 대통령실 대변인 (지난 17일) : 대통령실의 인사 관련된 기류가 변화가 있다는 해석 기사가 나왔지만, 대통령실은 기류 변화가 없다고 지금 '공표'하는 바입니다.]
논문 표절 의혹과 자녀 불법 조기 유학 논란으로 뭇매를 맞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관한 생각도 같았습니다.
초대 내각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끝날 때까진, 주의 깊게 지켜보겠단 거였습니다.
대통령실 참모들이 공개적으로 언급하진 않았지만, 이재명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됐을 거란 해석이 나왔습니다.
[우상호 / 대통령실 정무수석 (지난 17일) : (청문회가 마무리된 뒤) 종합 보고한 이후에 대통령님께서 일정한 인사권자로서의 판단을 하실 것으로 예상합니다.]
대부분 청문회는 끝났고, 이 대통령 결단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주말 사이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이는 선택지는 크게 3가지입니다.
비판 여론에도 두 사람에 대한 임명을 강행할지, 아니면 지명 철회나 자진 사퇴 형식으로 '낙마'를 택할지를 이 대통령은 결정해야 합니다.
[김현정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지난 17일) : 임명할 거냐 안 할 거냐에 대한 판단의 영역은 최종적으로 대통령실에서 하는 것이고….]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오롯이 임명권자인 대통령의 몫이지만, 정치권에서는 최소 1명은 '읍참마속'의 대상이 될 거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여권에서조차 부정적 기류가 적지 않은 상황에서 임명을 밀어붙일 경우, 자칫 독단과 불통 이미지가 덧씌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각에선 대통령실이 강선우, 이진숙 후보자의 거취를 바로 정리하지 않은 건, 다른 후보자로 공격의 화살이 옮겨가는 걸 막기 위한 포석이었을 수 있단 분석까지 내놓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두 사람에게 문제가 전혀 없다고 본 게 아니라, 1기 내각의 낙마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이었을 수 있다는 얘기인데, 여론의 흐름에 민감한 이 대통령이 어떤 선택지를 고를지 주목됩니다.
YTN 강진원입니다.
영상기자;최영욱 김정원
영상편집;서영미
디자인;김진호
YTN 강진원 (jin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