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 표적수사 벌인 정치검찰, 반드시 개혁해야"
정성호 개혁 의지 확인…수사·기소 분리 방침 강조
’공소 취소’ 발언 쟁점…이 대통령에게 면죄부?
정성호 "공적 책임 다할 것…장관 지명 전 발언"
정성호 개혁 의지 확인…수사·기소 분리 방침 강조
’공소 취소’ 발언 쟁점…이 대통령에게 면죄부?
정성호 "공적 책임 다할 것…장관 지명 전 발언"
AD
[앵커]
오늘 국회에선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함께 법무부 정성호, 고용노동부 김성훈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도 열렸습니다.
청문회 주요 내용 짚어봅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박정현 기자!
[기자]
네 국회입니다.
[앵커]
청문회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기자]
네, 먼저 정성호 법무부 장관 청문회는 주질의를 마치고 보충 질의가 진행 중입니다.
정 후보자 청문회의 경우, 신상이나 도덕성 검증보단 주로 '검찰' 문제가 화두였습니다.
여당을 중심으로 검찰개혁에 대한 후보자 계획과 의지를 묻는 질의가 이어졌는데요,
먼저 검찰 개혁을 두고 정 후보자, 시대적 소명이라며 거듭 수사와 기소 분리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대통령에 당선됐으면 공소취소가 되는 게 맞단 과거 후보자 발언도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에게 법무부 수장이 면죄부를 주는 게 아니냐는 건데요.
야당 의원들의 이런 지적에 정 후보자는 공적 책임을 다할 후보자로서 답변 드리기 적절치 않다면서도, 장관 지명 전에 한 발언이라고 물러섰습니다.
정성호 후보자는 또, 국민의힘에 대한 정당 해산 심판 청구 가능성에 대해, '1호 당원'인 대통령이 의원들 판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사실관계가 확정되면 판단할 거라고, 여지를 남겼습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선 '대북관'을 두고 여야 공방전이 벌어졌습니다.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인 김 후보자의 과거 방북 이력 등을 고리로 '북한 주적론'에 대한 질문 공세가 쏟아졌는데요,
'북한은 주적이 아니다'란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발언에 동의한단 취지 답변을 내놓으면서 한때 국민의힘 의원들은 반발해 집단 퇴장하기도 했습니다.
오늘로써 청문회 정국도 반환점을 돌았는데요.
배경훈 과기장관 후보자를 제외하곤, 인사청문 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은 상황인데 국민의힘은 후보자들의 비협조적 태도 등을 이유로 보고서 채택에 동의해주기 어렵단 입장인 만큼, 남은 과정도 녹록지 않아 보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박정현입니다.
YTN 박정현 (miaint312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오늘 국회에선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함께 법무부 정성호, 고용노동부 김성훈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도 열렸습니다.
청문회 주요 내용 짚어봅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박정현 기자!
[기자]
네 국회입니다.
[앵커]
청문회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기자]
네, 먼저 정성호 법무부 장관 청문회는 주질의를 마치고 보충 질의가 진행 중입니다.
정 후보자 청문회의 경우, 신상이나 도덕성 검증보단 주로 '검찰' 문제가 화두였습니다.
여당을 중심으로 검찰개혁에 대한 후보자 계획과 의지를 묻는 질의가 이어졌는데요,
먼저 검찰 개혁을 두고 정 후보자, 시대적 소명이라며 거듭 수사와 기소 분리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대통령에 당선됐으면 공소취소가 되는 게 맞단 과거 후보자 발언도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에게 법무부 수장이 면죄부를 주는 게 아니냐는 건데요.
야당 의원들의 이런 지적에 정 후보자는 공적 책임을 다할 후보자로서 답변 드리기 적절치 않다면서도, 장관 지명 전에 한 발언이라고 물러섰습니다.
정성호 후보자는 또, 국민의힘에 대한 정당 해산 심판 청구 가능성에 대해, '1호 당원'인 대통령이 의원들 판단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사실관계가 확정되면 판단할 거라고, 여지를 남겼습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선 '대북관'을 두고 여야 공방전이 벌어졌습니다.
민주노총 위원장 출신인 김 후보자의 과거 방북 이력 등을 고리로 '북한 주적론'에 대한 질문 공세가 쏟아졌는데요,
'북한은 주적이 아니다'란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발언에 동의한단 취지 답변을 내놓으면서 한때 국민의힘 의원들은 반발해 집단 퇴장하기도 했습니다.
오늘로써 청문회 정국도 반환점을 돌았는데요.
배경훈 과기장관 후보자를 제외하곤, 인사청문 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은 상황인데 국민의힘은 후보자들의 비협조적 태도 등을 이유로 보고서 채택에 동의해주기 어렵단 입장인 만큼, 남은 과정도 녹록지 않아 보입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박정현입니다.
YTN 박정현 (miaint3120@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